![]() |
국민의힘 김기현 당 대표 후보(왼쪽)와 안철수 당 대표 후보가 5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국민의힘 동대문구 갑을 합동 당원대회에서 기념촬영을 위해 단상에 올라가 있다. 연합뉴스 |
전당대회 후유증도 우려된다. 분당(分黨) 수준의 극한 갈등이 수그러들지 않을 경우 국정 지지도 하락은 물론 내년 총선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전당대회 선거전은 지난 5일 예비경선 진출자를 가리면서 본격 막을 올렸다. 김기현 후보와 안철수 후보가 양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문제는 안 후보가 상승세를 타면서 벌어졌다. 안 후보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자, 친윤계를 넘어 대통령실과 정면 충돌하는 양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안 후보는 대통령실이 당 대표 경선에 개입했다고 주장하며 일부 공개 일정을 취소했다. 반면 대통령실은 "당에 대한 권한 행사는 당무개입이 아니며, 당원으로서 아닌 것은 아니라고 이야기 해야 한다"고 강경 대응했다. 김 후보 후원회장인 신평 변호사는 '윤 대통령 탈당'까지 거론하며 안 후보의 '윤안 연대' 발언을 거칠게 비판하는 사태까지 일어났다.
윤상현 후보는 친윤계를 비판했다. 윤 후보는 6일 "전당대회가 아니라 분당대회로 가고 있다. 공정성 논란이 결국 당의 분열로 갈라놓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유승민·이준석·나경원·안철수에 반윤 딱지를 붙여 그 결과가 어떻게 됐나"라고 반문했다. 국민의힘 당원이나 국민은 안중에도 없는 진흙탕 싸움이 연일 이어지는 셈이다.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형편없는 수준으로 전락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3대 개혁도 차질을 빚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다. 정부는 전당대회 이후 '노동·연금·교육 개혁'에 본격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자칫 당 내분이 3대 개혁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권 주자들은 정신을 차려야 한다. 실체가 없는 '윤심' 경쟁으로 국민을 실망시켜선 안된다. 대통령실도 이제 침묵해야 한다. 당 대표 경선에 자꾸 개입해 정당 민주주의 훼손 논란을 일으켜선 곤란하다. 심각한 후유증을 부를 수 있다. 대통령과의 협력은 누가 당 대표가 되더라도 해야 한다. 대통령과의 친분이 문제가 될 수 없다. 집권당의 대표라면 정부와 함께 국정 개혁에 나서는 게 당연하다.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정상을 회복해야 한다는 게 한결같은 지적이다. 한 정치 평론가는 "축제가 되어야 할 전당대회가 극한 갈등 속에 마무리될 경우 새 지도부가 구성되더라도 당 혼란은 악화 일로를 걸을 것"이라며 " 최악의 경우 비윤 그룹의 분당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임호기자
정재훈기자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