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정부 부처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최근 은행들의 고금리로 인해 국민 고통이 크다면서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고금리로 서민·자영업자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은행은 역대 최대실적으로 '성과급 잔치'를 벌이자, 은행의 공공성을 강조하며 상생안을 지시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은행의 '돈 잔치'로 인해 국민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금융위는 대책을 마련하라"고 했다고 이도운 대통령실 대변인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은행은 공공재적 성격이 있다"고 강조한 뒤 "수익을 어려운 국민,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에게 이른바 상생 금융 혜택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배려하고 향후 금융시장 불안정성에 대비해 충당금을 튼튼하게 쌓는 데에 쓰는 것이 적합하다"고 지적했다. 최근 은행이 고금리 수혜로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려 '돈 잔치'를 벌이고 있다는 비판이 잇따르자, 윤 대통령이 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사기업에 고통 분담을 요구하는 '횡재세'(기업의 초과 이윤에 세금을 추가로 물리는 것) 성격이 있는 만큼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은 횡재세 도입을 요구했지만,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최근 대정부 질문에서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친 바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에 대해 "횡재세까지 연결시킬 필요가 있는 지는 모르겠다"면서도 "은행도 금융기관으로 부를 때가 있지 않나. 사기업이 맞지만 금융의 경우 당국이 허가를 하고 공공재적 성격이 있기에 그에 맞는 사회적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서민 금융 분야의 금리를 낮추는 방안 등이 나올 것으로 거론된다. 조만간 대통령실 경제수석실도 설명이나 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