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당시인 2020년 고3 학생,
2010년 고3 학생보다 사교육비 8만8천원 증가해
일주일 평균 사교육 시간도 3시간 늘어
![]() |
한 고등학교에서 선생님이 원격 수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코로나19 시기 학교 폐쇄에 따른 수업 결손으로 고3 학생들의 사교육비 지출과 수강 시간이 늘어났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한국교육개발원에 따르면, 코로나19 당시인 2020년 일반계고 3학년생들의 월평균 사교육비(이하 2020년 소비자물가로 조정한 가격 기준)가 약 8만8천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 평균 사교육 시간도 3시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2009년 고2, 2010년 고3이었던 3천83명과 2019년 고2, 2020년 고3이었던 4천269명 등 10년의 시차를 둔 두 집단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시 학생의 월평균 사교육비가 9만4천원 증가했다. 이어 대도시 7만1천원, 중소도시 10만1천원, 읍·면·특수지역 8만4천원 등이었다.
수업 결손은 사교육 시간을 늘리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2020년 고3 학생들의 국어·영어·수학 과목의 일주일 평균 사교육 시간은 8시간 24분이었다. 이는 2010년 5시간 24분에 비해 3시간 더 늘어난 것이다.
한국교육개발원은 "코로나 당시 고등학생들은 사교육에 시간과 비용을 보다 많이 투자함으로써 학업의 공백을 최소화하고자 했다"면서 "교육 여건이 좋지 못한 학생들의 가계 부담을 완화하고 학습 결손을 실질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했다.
이효설기자 hobak@yeongnam.com

이효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