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선발 전형 비율 높이고 '지역 의사제' 도입 목소리
"지방대 공동화 막기 위해 국립대·사립대 함께 증원을"
![]() |
정부가 내주 발표할 예정인 의대 정원 확대 폭이 당초 예상됐던 것보다 훨씬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이날 국민의힘과 정부, 대통령실은 삼청동 총리공관에서 협의회를 열어 의대 정원확대 방안 발표를 앞두고 의견을 조율한다.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의 한 의과대학. 연합뉴스 |
정부가 추진 중인 의대 정원 확대 정책과 관련, 18일 양동헌 경북대병원장은 지방 국립대 병원에 대한 과감한 재정 지원을 주문했다. 그는 "지방 국립대 병원에 전공의 배분을 확대하고, 소아과 등 필수 중점 의료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보전해줘야 한다. 인력충원과 급여 부분에서도 어느 정도 자율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의대 정원 확대도 지방대와 지역인재 전형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정민 경북대 의대 부학장은 "경북대 의대 모집정원은 한때 160명이었지만 의학전문대학원 도입 등으로 점차 줄어 지금은 110명으로 묶였다"면서 "지역인재전형을 대폭 확대해 지역 의사 풀을 보장하고, 여기에 맞는 의료 환경을 확충한다면 지역 의료 공백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김 부학장은 "일정 기간 해당 지역에서 의무 복무하는 '지역의사제' 같은 의료 제도가 보완되지 않으면 수도권으로 의사가 빠져나가는 상황을 강제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대구권 사립대의 한 관계자는 "지방 대학의 공동화를 방지하려면 지방의 국립대는 물론, 사립대 의대도 정원을 늘려줘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지역인재전형은 해당 지역에서 고교 전 교육과정을 이수한 학생만 그 지역 의대에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이다. 지방대 의약학 계열은 신입생의 40%(강원·제주 20%)를 의무적으로 지역인재전형으로 선발해야 한다. 2024학년도 대구권 의대의 지역인재전형 선발 비율은 경북대 49%, 영남대 52%, 계명대 44%, 대구가톨릭대 55% 정도다. 각 대학 의대가 이 비율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것만으로도 의사 유출을 어느 정도 방지할 것으로 분석된다.
윤석준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연고도 없는 의사들이 지방의 정주 여건을 견딜 수 있겠느냐"며 "한시적으로라도 '지역인재 100%'까지 올려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효설기자 hobak@yeongnam.com

이효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