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여건, 통근, 휴양, 업무 환경
청년 수요 먼저 이해하고 대응해야
일자리 박람회 모습. 영남일보DB |
허문구 산업연구원 균형발전센터장은 지방소멸 지표 관련 보고서에서 "최근 수도권으로 향하는 지방인구의 행렬이 멈추지 않고 있으며, 특히 청년들의 수도권 쏠림현상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며 "수도권은 과밀현상으로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고, 비수도권은 일자리와 인력의 수급 불균형 심화 및 경제성장 정체 현상에 직면하면서 지방소멸은 가속화되는 양상을 보인다"고 진단했다.
실제 대구경북의 경우 청년 유출로 활력을 잃고 있는 게 현실이다. 동북지방통계청에 따르면 경북의 지난해 순유출 인구 7천666명 가운데 86.4%(6천626명)가 '수도권으로 빠져나간 20대'로 조사됐다. 대구 역시 지난해 순유출 인구(1만1천519명) 중 67%(7천725명)가 수도권으로 간 20대로 나타났다. 대구경북 대학 역시 이미 2021학년도 대입에서 대거 미달사태를 경험하면서 위기를 맞고 있다. 올해 대구경북지역 고3 수험생 수가 3만9천여명이지만, 지역대학 전체 정원은 6만5천여명이다. 지역대학의 대규모 미달사태가 불 보듯 뻔한 상황이다. 대입 및 취업에 맞물려 거주 지역의 이동이 일어나는 데 지역에서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전문가들은 청년 인구의 역외 유출을 낮추기 위해서는 청년에게 성장과 학습 기회를 제공할 양질의 교육기관과 일자리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청년들이 지역을 찾아올 만한 매력이나 청년들이 지역을 떠올릴 수 있는 '명확한 컨셉'이 필요하다는 게 공통된 의견이었다. 정수희 덕성여대 교수는 "일자리와 산업 등 청년들의 수요를 먼저 이해하고 정책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인구 유치 시대를 고려해 지역 학생들을 머무르게 하는 것은 물론 수도권의 학생을 지방으로 '유치'하는 방안도 필요할 전망이다. 전망은 낙관적이지 않다. 대학내일20대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4년제 대학 취업준비생 1천여명에게 한 설문 결과, 향후 취업 시 비수도권 지역 내 근무 의향을 물었을 때 수도권 대학생 34.3%만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비수도권 대학생은 63.3%였다. 10명 중 4명은 지역을 떠날 준비를 한다는 의미다. 비수도권 대학생은 공기업·공공기관 취업을 선호한다는 결과도 나왔다.
대학내일 송혜윤 연구원은 "수도권 청년들이 비수도권에 아는 사람이 없어 근무까지 수용하기 어렵다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며 "가족이나 지인 등이 없더라도 취향과 관심사 기반으로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청년층의 특성을 고려해 지역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무언가를 지속적으로 찾아 가꿔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또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의 일자리 자체가 부족한 점, 즉 몇몇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일 할 수 있는 기업'의 수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에 그만큼 취업의 기회가 적다는 부분은 의심할 여지가 없을 것"이라며 "비수도권에서의 생활(통근, 통학, 관광, 휴양, 업무 등) 경험 유무가 가장 중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다. 국토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전반적인 추세는 비수도권에서의 청년 인력 유출 경향이 뚜렷하지만, 청년 고용 분포를 분석한 결과 지방 도시 가운데 대구와 구미 등 일부 지역은 청년 고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부가 농촌의 근무·주거·보육 환경을 개선해 청년 층의 눈높이에 맞출 방침이라 거주여건이 개선될 경우 '청년 농업인'을 통한 청년 인구 유입도 가능할 전망이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