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0621010002913

영남일보TV

서울대병원 교수들, 휴진 닷새 만에 현장 복귀…73.6% "휴진 중단해야"

2024-06-21 16:20

지난 20일부터 서울대병원 등 4곳 병원 전체 교수 대상 휴진 지속 여부 투표 진행
958명 중 698명(73.6%)이 '휴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 답해

PYH2024061708590006100_P4
휴진에 들어간 분당서울대병원. 연합뉴스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지난 17일부터 닷새간 이어가던 무기한 휴진을 전면 중단한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지난 20일부터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시보라매병원, 서울대병원강남센터 등 4곳 병원 전체 교수들을 대상으로 휴진 지속 여부에 대한 투표를 벌인 결과 70% 이상이 '휴진 중단'에 응답해 휴진 철회를 결정했다고 21일 밝혔다. 휴진 중단 시점은 오는 24일이다.

이번 찬반 투표에서 전체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고 답한 이는 192명(20.3%)이다.

구체적인 활동 방식을 묻는 질문(중복응답 가능)에는 응답자의 75.4%가 '정책 수립 과정 감시와 비판, 대안 제시'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어 65.6%가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고려해 지속 가능한 적정 수준으로 근무 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답했고, 55.4%가 '범의료계와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했다.

앞서 비대위는 지난 6일 전공의들에 대한 행정처분 취소 등을 정부에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을 결의했다. 지난 17일부터 응급·중증·희귀질환 등을 제외한 외래 진료, 수술 및 시술 등을 전면 중단했다. 당시 4곳 병원 진료 교수 중 54.8%가 휴진에 동참했다.

비대위 측은 "휴진 결정을 철회해 달라는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할 수 없었다. 당장 발생할 수 있는 환자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다는 게 휴진 철회 이유다"면서도 "정부의 설익은 정책을 받아들여서가 절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앞으로 닥칠 의료계와 교육계에 대한 혼란과 붕괴의 책임은 전적으로 정부에 있다"며 "우리의 저항은 지속된다. 정부의 무책임한 결정으로 국민 결정권에 미치는 위협이 커진다면 다시 단체 행동을 결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다음 달 4일 서울 보신각 앞에서 1천 명 규모의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 방지법 제정 촉구 환자 총궐기대회'를 개최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동현기자 leedh@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동현 기자

산소 같은 남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