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0623010003010

영남일보TV

의정 갈등 전환점 맞나…흔들리는 집단휴진에 대화 분위기 조성

2024-06-24

서울대병원 휴진 중단·연세의대 무기한 휴진 강행 고심
환자 단체, 내달 4일 역대 최다인 1천 명 참가 집회 개최
이번주 전공의 정부 처분 방침…국회 청문회 전환점 주목

2024062301000708700030101
서울의 주요 병원 앞에서 연세의대와 아산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 주변에는 환자들과 환자 권익 단체들이 집단 휴진 철회와 더 나은 의료 정책을 요구하는 표지판을 들고 있다.<영남일보 AI>

서울대병원이 '무기한 휴진'을 닷새 만에 중단하면서 연세의대·세브란스병원과 울산의대·서울아산병원 교수들의 움직임이 주목된다.


환자단체는 의료계 집단휴진 철회와 재발 방지를 촉구하며 총궐기대회를 예고했다. 또 이번 주 전공의 사직 처리에 대한 정부 방침과 복지부 장·차관의 국회 청문회가 예정돼 있어 의정 갈등의 전환점이 될 것인지 관심을 모은다.

23일 의료계에 따르면 연세의대·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은 오는 27일부터 시작하기로 한 무기한 휴진을 강행할 지를 놓고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서울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전공의에 내려진 명령 취소 등 정부의 태도 변화를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나선 지 5일 만인 21일 휴진 중단을 선언했다.


서울대 4개 병원 전체 교수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투표에서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을 중단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답했다.

연세의대 교수 비대위는 서울의대 교수 비대위의 휴진 중단 배경 등을 파악한 뒤 내부 회의나 전체 교수 투표를 거쳐 휴진 강행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의대 비대위 결정은 울산의대, 가톨릭의대, 성균관의대 비대위 결정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의료 공백 사태로 인해 분노한 환자들은 거리로 나온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는 오는 7월 4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에서 다른 환자 단체와 함께 '의사 집단휴진 철회 촉구 환자 총궐기대회'를 연다. 참석 예상 인원은 1천 명이다.
단체는 "의료 공백 사태 속에 '앞으로 환자를 함부로 했다가는 환자들이 직접 모인다'는 것을 보여주자는 의도에서 총궐기대회를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공의에 대한 정부의 '전향적인 변화'가 의정 갈등의 분수령으로 작용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전공의 행동에 따라 의대 교수나 의협의 단체행동은 물론 '의료 정상화'를 바라는 정부의 태도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번 주 전공의 처분에 대한 지침을 각 대학병원에 설명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도 26일 청문회에서 복지부 조규홍 장관을 증인으로 불러 의료 현안에 대해 질의할 예정이다.
최근 경북대병원을 퇴직한 뒤 개원한 A 의사는 "정부가 진정 의료계 '단일 창구'와 대화하길 원한다면 먼저 전공의가 움직일 수 있게 '물꼬'를 터줘야 한다"고 했다.

대화 분위기도 조성되고 있다. 의대 정원에 대해 정부와 의사 단체 간 이견이 있지만, 의사 단체는 '원점 재검토'에서 한발 뒤로 물러나 '논의'하자는 입장을 내비치고, 정부도 내년 이후 정원은 조정이 가능하다는 뜻을 밝혔다.


강승규기자 kang@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강승규 기자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