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225010003155

영남일보TV

정부, 농촌소멸 막기위해 자율규제혁신지구 10곳·체류형복합단지 3곳 추진

2025-02-25 15:05

농식품부, 농촌소멸 대응전략 추진상황 및 향후 계획 발표

정부, 농촌소멸 막기위해 자율규제혁신지구 10곳·체류형복합단지 3곳 추진
영주지역 한 농촌 지역에 방치된 빈집. 영남일보 DB

정부가 농촌 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규제 완화 등을 적용하는 '자율규제혁신 시범지구' 10곳을 내년에 선정한다. 또 텃밭과 거주·교류 공간을 연계한 '체류형 복합단지'도 올해 3곳을 지정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5일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농촌소멸 대응 전략 추진 상황 및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우선 자율규제혁신 지구를 내년까지 10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혁신지구는 농촌소멸 위험지역 읍·면이 대상이며, 지자체와 민간이 조성 계획을 마련하면 정부는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해 기업과 투자 유치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자율규제 혁신지구 성공 사례로 고창 상하농원을 소개했다. 농식품부는 "이곳은 정부·지자체·민간투자를 바탕으로 축산 융복합 체험 공간과 아름다운 전원 마을 조성을 통해 방문 인구를 유인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상하면은 농업기반을 유지하면서 지역 활력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영농 체험을 할 수 있는 텃밭과 거주·교류 공간을 연계한 체류형 복합단지 3곳도 올해 조성한다. 체류형 복합단지는 체류·영농·관광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단지로, 이를 도시민에게 임대해 농촌을 찾도록 할 예정이다. 복합단지에는 소규모 거주공간 20여 곳과 텃밭이 들어선다. 농식품부는 다음 달 사업자 선정에 이어 오는 5월부터 컨설팅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농촌 빈집 거래와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농촌 빈집은행 구축을 중점 추진하고, 빈집재생 지원도 확대한다. 더불어 올해부터 농촌의 유·무형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창업 활성화에 4억5천만원을 신규지원하고, 농업 관련 전후방 산업을 연계·집적화하는 농산업 혁신 벨트 조성에도 2028년까지 40억원을 투입한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