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산업 침체 가속화 우려…지역 고용시장도 침체
시민들 "안 그래도 힘든데"…지역 기업, 공장 가동률 하락 우려
포항시, 범정부 차원 대응 방안 기대
![]() |
포항 시가지 너머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보이고 있다. 김기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 관세 부과로 철강 도시인 경북 포항의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국내 건설 경기 침체, 중국산 저가 철강 공세 등의 악재로 포항지역 경제가 휘청이는 가운데 미국 정부의 철강 관세 부과로 지역 경기 악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 포항철강산업단지의 철강 업체들은 수익성 악화로 공장 폐쇄 또는 가동 중단에 들어간 곳이 속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7월 포스코 포항제철소 1제강공장이 문을 닫았고, 같은해 11월에는 1선재공장도 폐쇄했다.
현대제철도 지난해 11월 포항2공장 가동을 중단한 데 이어 이달 들어 포항공장 기술직을 대상으로 희망퇴직과 사업장 간 전환 배치 신청을 받고 있다. 철강 수요 둔화와 가격 경쟁 심화 등으로 인해 생존을 위한 구조조정에 돌입했다는 분석이다. 포항철강산단 내 업체들의 생산액도 감소하고 있다. 특히 제품을 생산해도 판매할 곳이 없다. 자연스럽게 공장 가동률이 낮아지면서 업체의 실적이 날로 악화되고 있다. 12일 철강 업계에 따르면 현재 철강공단 내 가동률은 70%에 그치고 있다.
포항 철강업계 관계자는 "철강업체 특성상 수익 분기점이 되는 공장 가동률은 최소 80%다. 하지만 공단 내 기업 대다수가 가동률이 저조해 어려운 상황에 부닥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잇따른 악재가 겹치면서 지역 기업의 채용 계획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포항상공회의소가 최근 발표한 기업인력채용실태 조사에 따르면 지역 기업 53.5%가 올해 채용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6.1%보다 17.4%포인트나 증가한 수치다. 포항지역 고용시장이 작년보다 악화됐다는 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지역 자영업자들의 한숨도 깊어지고 있다. 철강 업계의 경영 악화로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되면서 손님은 급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포항시내 한 음식점 사장은 "공단 내 기업들의 회식 손님이 거의 없다. IMF 때도 포항은 이렇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이에 포항철강산업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대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포항시는 포항을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 지정과 함께 정부 지원 강화를 정부에 요청하고 있다. 또 정부 차원의 지원을 담은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에 여야가 힘을 모아 줄 것도 호소하고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국가 경제의 근간인 철강 산업의 회복 골든 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 신속하고 실효성 있는 범정부 차원의 대책이 절실하다"며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 지정과 철강 산업 특별지원법 제정 등 여·야·정부가 협력해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이 마련이 간절하다"고 호소했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