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319020440962

영남일보TV

의대생 복귀시한 임박…유급, 제적 경고 칼 빼든 대학들

2025-03-19

의대 교수·전문의 “복귀 우선” vs 의대생·전공의 “끝까지 투쟁”
각 대학, 휴학계 반려 및 유급·제적 원칙 적용 방침

의대생 복귀시한 임박…유급, 제적 경고 칼 빼든 대학들

현대적인 의과대학 강의실의 모습을 담은 이미지이다. 강의실은 정돈된 상태로, 긴 책상과 의자가 배열돼 있으며 중앙에는 대형 스크린이 자리하고 있다. 스크린에는 의료 교육과 관련된 중립적인 뉴스 헤드라인이 표시돼 최근 의정 갈등을 암시하는 듯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책상 위에는 의학 교재와 노트가 펼쳐져 있어 학문적인 환경을 강조하고 있다. 강의실은 조용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유지하며, 의료 교육 현장의 긴장감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영남일보 AI 제작>

의정갈등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의대생의 복학문제를 놓고 의료계 내부 갈등이 극도로 악화되고 있다. 의대 교수와 전문의들은 의대생들이 우선 복귀한 후 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반면 의대생과 전공의는 법적 소송 등 복귀 없는 투쟁을 고수하고 있다. 사실상 논의가 교착상태에 빠졌다.

특히 교육부와 각 대학이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에 대해 올해는 '학칙대로 대응'을 공언했지만 실제 복귀 학생수는 미미할 전망이다. 의대생 중 상당수는 “제적 당하면 재입학하면 된다"는 인식이 깔려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오는 21일 경북대·연세대·고려대를 시작으로 각 대학이 제시한 복귀 시한이 도래하면서 이번 주 후반이 향후 의대생 복귀 여부를 가늠할 중대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19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경북의대는 재적생 817명 중 528명이 일반휴학을 신청한 상태다. 신입생 157명을 제외하면 재적생의 80%가 휴학을 선택한 셈이다. 계명의대도 전체 재적생 591명 중 329명이 휴학을 연장했다. 대구가톨릭대 역시 신입생 80여 명을 제외한 대부분 학생이 휴학계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남대는 300여 명이 휴학계를 낸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의대가 있는 40개 대학 총장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이날 의대생들의 휴학계를 즉시 반려하고 유급이나 제적 등의 사유가 발생할 경우 학칙대로 엄격히 처리하기로 했다. 이같은 기본방침은 이날 오전 영상간담회에서 도출됐다. 의총협은 “총장들은 현재 제출된 휴학계 반려를 21일까지 완료하기로 했다"며 “유급·제적 등 학칙상 사유가 발생하면 원칙대로 처리하고, 2025학년도는 개별 (단과) 대학의 학칙을 의과대학에도 동일하게 엄격히 적용하는 사항에 대해서도 합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의대생과 전공의들 중 일부 강경파는 오히려 휴학과 미복귀를 통한 투쟁을 주도하거나 독려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선 복귀자를 '배신자'로 규정, 명단을 회람하는가 하면 일부 대학 학생은 복귀자를 동료로 생각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문제는 의대 교수와 의대생·전공의의 대치 구도가 '의료계 내부 갈등'으로 이어지고 있는 점이다. 전공의와 의대생들은 의대 교수가 기득권을 가진 존재로 정부 편에 서서 착취하는데 앞장서고 있다고 여긴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최근 페이스북을 통해 “후배들에게 더 나은 교육 환경을 물려줘야 할 텐데 학장은 오히려 정부 권력에 편승해 제자들을 시궁창에 빠뜨리려 한다"고 언급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다.

이런 가운데 교육부는 의대생 미복귀로 생기는 결원을 일반 편입학으로 채우는 방안과 관련해 '대학 자율사항'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의대국장)은 이날 “평소에도 결원이 나오면 대학은 일반 편입학으로 충원해 왔다"며 “(결원이 발생하는) 의대는 소수지만 (일반 편입학은) 결원이 나왔을 때 하는 일반적 처리 절차"라고 강조했다.


기자 이미지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