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327028284042

영남일보TV

美, 車 핵심부품도 25% 관세…대구 최대산업 큰 타격 우려

2025-03-27 17:32

트럼프, 공식 발표에 긴장
대구 부품수출 비중 20.1%
차보다 1달 늦게 적용 전망

美, 車 핵심부품도 25% 관세…대구 최대산업 큰 타격 우려

25일 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 관세 부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美, 車 핵심부품도 25% 관세…대구 최대산업 큰 타격 우려

2024년 대구지역 대미 주요 수출품목. <대구상공회의소 제공>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대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에 다음달 2일부터 관세를 추가로 25% 부과하겠다고 26일(현지시각) 공식 발표했다. 여기에 더해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주요 부품에 대한 관세도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대구 최대 산업인 자동차부품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할 일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상은 모든 외국산 자동차와 핵심 부품이다. 주요 타깃은 한국, 일본, 유럽, 멕시코, 캐나다에서 생산된 자동차와 핵심 부품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역 최대 산업인 자동차부품업계에도 트럼프 대통령발(發) 관세 영향이 가시화 됐다.

美, 車 핵심부품도 25% 관세…대구 최대산업 큰 타격 우려

연합뉴스

이번 미국 정부의 관세 관련 포고문에는 25% 관세가 자동차(세단·SUV·크로스오버·미니밴·카고밴)와 소형트럭뿐만 아니라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자동차 핵심 부품에도 적용된다고 명시됐다. 대구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한국의 완성차와 상당수 부품의 경우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현재 0% 관세로 수출하고 있다.

핵심부품에 대한 관세는 자동차 관세보다 한 달 정도 늦게 적용될 전망이다.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협정(USMCA) 적용을 받는 부품들은 일단 관세 부과를 유예하되, 상무장관이 관련 절차를 수립한 뒤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대구상의는 이번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가 현대차, 기아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뿐 아니라 지역의 자동차부품 기업에 대해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했다.

자동차는 우리나라 대미 수출 1위 품목으로 지난해 기준 347억달러, 전체 수출의 27.2%를 차지했다. 자동차부품은 82억달러로 6.4% 비중이다. 자동차와 차부품을 합하면 대미 총 수출의 3분의 1에 달한다.

대구지역 자동차부품의 대미 수출 금액은 지난해 4억1천만달러 규모로, 그 비중이 전체의 20.1%에 달해 막대한 영향이 미칠 전망이다.

지역 자동차부품 기업들은 관세 부과에 대해 예상했다면서도 아직 정확한 품목이 나오지 않아 상황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

업계는 완성차 제조사의 미국 내 생산과 부품 조달 비중이 더 커질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미국 내 완성차 밸류체인이 100% 갖춰져 있지 않아 미국 내 생산을 하더라도 수입이 불가피하고, 미국으로 부품을 수출하는 기업들이 관세 영향을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구 완성차 1차 협력사 A사 관계자는 “앨러배마 등 미국 현지 공장에서 부품을 제조해 납품하고 있지만, 일부 부품은 국내에서 보내는 경우가 있어 관세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자동차부품 기업 B사 관계자는 “국내 부품사도 미국 내에서 100% 원부자재를 조달해 생산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것이 관건"이라고 전망했다. 또 다른 차부품 기업 C사 관계자는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주요 부품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발표했는데, 어떤 부품까지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되는 지 관련 정보 제공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기자 이미지

이동현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