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403023196231

영남일보TV

경북도 제안 ‘광역형 비자’…정부사업으로 대구·경북서 시행

2025-04-03 17:49

올해부터 2년간 25개 직종 광역비자 우수 외국인 인력 450여명 유치

경북도 제안 ‘광역형 비자’…정부사업으로 대구·경북서 시행

경북 영주의 사업장에서 외국인이 장비를 정비하고 있다. 영남일보 DB

경북도가 최초로 제안한 '광역형 비자'가 이달부터 정부 주관 전국 사업으로 시행된다. 광역형 비자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특성과 수요를 반영해 외국인 전입 희망자에 대한 체류 자격과 쿼터를 직접 설계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법무부는 경북도 제안에 따라 올해부터 광역형 비자 사업 대상 지자체를 공모했다.

올해 공모에서는 경북도와 함께 대구시도 사업 대상 지자체로 선정됐다. 도는 2년간 제조·기술 전문인력 250명과 요양보호사 100명 등 외국인 전문인력 350명을 광역형 비자로 할당 받았다. 도는 특정활동 (E-7) 체류 자격에 준하는 전문 인력을 광역형 비자로 유치할 계획이다.

광역형 비자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금속·재료공학, 기계공학 기술자 등 25개 전문 기술을 갖춘 외국인은 신청 가능하다. 만성적인 인력난을 겪고 있는 요양보호사 인력의 비중도 늘렸다.

비자 신청 자격은 기존보다 폭넓게 열렸다. 학력 기준을 전문학사까지 넓힘으로써 전문대학 유학생까지 해당 비자를 통해 취업할 수 있도록 취업 창구를 확대했고, 관련 분야 경력 요건도 기존 5년에서 3년으로 완화됐다.

시범사업에 경북도, 경기도, 경남도와 함께 체류 자격 'E-7' 선정된 대구시도 이를 통해 5대 신산업(ABB·로봇·반도체·미래모빌리티·헬스케어) 분야 외국 우수인재를 확보한다는 복안이다. 시는 이달부터 내년 12월까지 광역형 비자를 시범 운영하며 100여명의 우수 외국인 인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광역형 비자를 직접 추진해 온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외국인 유입부터 정착까지 전(全) 주기적 지원 기반을 마련해 외국인의 국내 정착을 돕겠다"고 말했다.


기자 이미지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