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양 정당 모두 채택할지 관심
국가AI컴퓨팅센터는 광주 등 타 지자체도 대선 공약 포함
대구시 “각 정당 및 대선후보가 지역 공약 채택하도록 노력”
![[대구시 대선 공약은] 실제 공약 채택 및 실현가능성 등 관건](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04/news-p.v1.20250424.9eb0710a374145aa804e02c6f9480041_P1.jpg)
대구시청 전경. 영남일보DB
대구시가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과 대선 후보들에게 건의할 지역공약을 24일 공식 발표했다.
대구 지역공약은 4대 분야, 23개 사업, 76개 세부사업으로 총 사업비는 82조 규모다.
지역의 대형 현안이나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 정부 차원의 적극 지원이 필요한 사업들이 대거 공약으로 담겼다.
또 윤석열 정부와 민선 8기 대구시의 공약 관련 사업도 적잖게 공약에 포함이 됐다. 이는 정책의 연속성을 위해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는 게 지역 관가의 설명이다.
대구시가 확정한 지역 공약들이 실제 얼마나 대선 공약으로 반영될지와 또 공약의 실현 가능성이 얼마나 높은지 여부 등에 관심이 모아진다.
우선, 대구 취수원의 안동댐 이전이 양 정당 대선 후보 모두에서 대선 공약으로 채택될지 여부가 관심사다.
대구시는 '맑고 안전한 물 공급을 위한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을 공약에 포함 시켰다.
하지만, 대구시는 더불어민주당 정권 시절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취수원을 이전하기로 하고, 정부의 협조 속에 관련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후 민선 8기 들어 대구시장과 구미시장이 모두 바뀌면서 대구 취수원 이전 정책은 변화를 맞게 된다.
대구시는 현재 안동댐으로 취수원을 옮기는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을 적극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대구 취수원 정책을 공약화하는 과정에서 대구시가 정치권을 설득하고 조율하는 일이 숙제가 될 전망이다.
또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등 타 지자체에서도 대선 공약으로 내세운 사업들이 대구 공약으로 채택될지 여부도 지켜봐야 할 포인트다.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은 대구 뿐 아니라 광주에서도 대선 공약에 포함시킨 바 있다.
이밖에 대구 미군부대 이전 국가주도 추진의 경우, 대선 공약에 반영된다고 해도 국제 정세 등 여러 변수로 사업 속도를 내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대구지역 관가 한 관계자는 “대선을 앞두고 전국 지자체에서 저마다 대형 현안 사업 등을 공약에 포함하고 있다. 지자체 입장에선 행정 그 자체로는 힘이 약하니 정치적 동력을 바랄 수 밖에 없다"라며 “한정된 재원으로 경쟁을 해야 하니, 각 지자체가 발굴한 공약이 다 채택되거나 실현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라고 말했다.
대구시는 공약 채택을 위해 정치권 등과 적극 힘을 모은다는 계획이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대구의 미래 100년 번영을 위한 사업들이 국정과제로 채택될 때까지 전방위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