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대선] 국민의힘 TK공약에 TK통합이 빠졌다](https://www.yeongnam.com/mnt/file_m/202505/ams.001.photo.202505131108108007243736_P1.jpg)
13일 오전 대구 수성구 국민의힘 대구시당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국민의힘 대구경북선거대책위원회 발대식'에서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지역 당원들이 피켓팅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윤호기자 yoonhohi@yeongnam.com
국민의힘이 15일 대구경북지역 대선 공약을 발표했다. 하지만 대구시·경북도가 TK 백년대계를 위해 추진 중인 '대구경북행정통합'은 빠진 반면, 부산경남 행정통합은 공약으로 제시돼 적잖은 충격을 주고 있다. TK 미래 먹거리를 위해 하늘길을 여는 신공항 사업도 방법론에서 대구시와 결을 달리해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3면에 관련기사
국민의힘 정책총괄본부는 이날 대구·경북 발전을 위한 '7대 핵심공약'을 내놨다. 대구는 신공항 및 교통망 확충, 군부대 이전 등 신성장 동력 확보와 미래 발전을 위한 공약이 담겼고, 경북은 산림·교통·문화·에너지 등 다방면에 걸친 균형발전 정책이 제시됐다.
그러나 핵심사업인 '대구경북행정통합'을 지원한다는 내용은 없었다. 앞서 대구시가 '연내 특별법 마련'을, 경북도가 '초광역 행정통합과 분권적 국가균형발전'을 각각 공약화했지만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 반면 '부산·경남 행정통합을 통한 남부권 균형성장 촉진'이라는 공약은 제시돼 대조를 이뤘다. '보수의 텃밭'으로 불리는 TK가 공들여 추진 중인 시·도 통합은 외면한 채 PK통합만 신경쓴다는 인상을 줄 수 있는 대목이다.
TK신공항 건설을 위해 '기부 대 양여' 차액 및 보조·융자 등 국비를 지원하겠다는 내용도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대구시는 이미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론 신공항 건설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리고 '국가재정사업'으로 방향을 변경한 상태다. 국민의힘이 이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신산업 육성을 제시한 △UAM(도심항공교통) 연계 모빌리티 △반도체 신산업 생태계 조성 △로봇산업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 △첨단 의료헬스케어산업 육성 △ABB(AI·빅데이터·블록체인) 생태계 확장 등도 이미 2022년 대선 및 지방선거 등에서 제시된 공약으로 '재탕·삼탕'이라는 평가다.
반면 경북 경우 최악의 산불에 대한 대응이 담겼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경북도에서 요구한 '돈이 되는 산(山)'으로의 정책 전환뿐만 아니라 특별법 제정을 통한 피해 주민 보상 등이 공약에 담겼다. 또 경산~울산 고속도로 신설과 대구경북 전역 순환철도 구축으로 전략적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구상은 지역 간 단절을 해소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정책들로 평가된다.

정재훈
서울정치팀장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