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중구 동성로 로데오거리 상가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있다. 영남일보 DB
지난해 국내 전체 폐업 신고자 수가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한 가운데, 대구지역 폐업자 수도 4만910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가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소비쿠폰 지급 등의 정책이 지역 자영업자들에게 회생의 '마중물'로 작용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대구에선 동성로 상권 활성화 프로젝트 일환으로 '놀장 축제'를 마련하는 등 온라인에 빼앗긴 손님을 되찾기 위해 안간힘을 다하고 있는 모습이다.
6일 국세청 국세통계에 따르면 2020~2022년 대구지역 폐업자 수는 해마다 3만4천~3만6천명 수준이었으나, 2023~2014년엔 2년 연속 4만명 이상의 폐업자를 기록했다. 상인단체에서는 소규모 자영업자의 폐업 비율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며 상인 간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는 만큼 맞춤형 대책을 호소했다. 이준호 대구 동성로상점가상인회장은 "무신사·유니클로 등 대형업체 위주로 봤을 땐 동성로 전체 매출이 소폭 올랐으나, 그 외는 매출이 좋지 않아 특히 소규모 자영업자의 폐업이 늘고 있는 양상"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이 때문에 메인 거리의 큰 상가에 입점한 유명 브랜드 가게는 장사가 잘되지만, 골목 안쪽에 있는 소규모 가게는 적은 매출로 고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자영업자의 경영 여건이 악화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2차 추경을 통해 내수 회복을 꾀하고 있다. 특히 이재명정부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이달 21일부터 9월12일까지 8주간 신청 지급될 예정이어서 상인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 발표안에 따르면 소비쿠폰 1차 지급 대상은 전 국민이다. 소비쿠폰 지급계획 발표 전날인 6월18일을 기준으로 국내에 거주하는 대한민국 국민에게 지급된다. 지원금은 전 국민 1인당 15만원이 기본이다. 다만 소득별 맞춤형 지원을 위해 차상위계층과 한부모가족은 1인당 30만원, 기초생활수급자는 1인당 40만원이 지급된다. 특히 비수도권 주민에게는 3만원, 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농·어촌 인구감소지역(84개 시·군) 주민에 대해서는 5만원이 추가로 지급된다. 대구시민 일부도 추가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남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