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의 때도 주한미군 문제 논의 될 것”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 사령관(대장)이 8일 캠프험프리스(경기 평택미군기지)에서 국내 매체들을 대상으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주한미군사령부 제공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미군 측이 주한미군의 병력 감축 가능성 등 변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냈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군사령관은 지난 8일 경기 평택 험프리스 주한미군기지에서 열린 한국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미군) 숫자가 아니라 능력이 중요하다. 주한미군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최근 한미 간 동맹 현대화와 전략적 유연성이 정상회담 의제로 떠오를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는 가운데 주한미군의 수장이 2만8천500명의 주한미군 병력에 대한 변화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다.
브런슨 사령관은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에 대해 "아주 힘든 주제"라면서도 "(한미)정상회담 때도 숫자보다는 한반도에 상주하는 우리 (병력의) 능력들이 어떤 게 있느냐에 대해 초점이 맞춰질 것 같다"고 했다.
이어 "(감축이나 조정과) 관련해 결정이 있을 것이지만, 내 생각엔 그 논의는 순전히 숫자에 대한 논의는 아닐 것"이라며 "임무를 위해 이곳에 가용한 능력들에 대한 논의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병력 규모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 능력이 유지된다면, 병력 규모를 감축할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동맹 현대화의 개념을 묻는 질문엔 "(유엔사령부가 창설된) 75년 전 한국과 지금은 많이 다르다"며 "변화한 위대한 두 국가(한미)의 사회상이 반영된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북쪽엔 핵무장한 나라(북한)가 생겼고, 점진적으로 러시아가 북한에 개입, 관여하고 있다. 중국 또한 인도·태평양 지역을 위협하고 있다"며 "강군을 가진 두 나라에서 이성적으로, 변화된 작전 환경에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대만 해협 문제에 주한미군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되는 발언이다.
전작권 전환 문제의 경우 한미가 합의한 조건이 충족된 시점에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브런스 사령관은 "만약 우리가 '지름길(shortcut)'을 택할 경우 한반도 군사 대비태세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며 "우리가 해선 안될 일은 조건이 (진행 중에) 바뀌는 것이다. 단순히 (조건 충족이) 완료됐다 말하기 위해 서두르는 것은 한미 양국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미가 정치적 협상 등을 통해 당초 합의한 조건을 수정하거나 완화하는 방식으로 전작권을 조기 전환하는 것은 '안보 패착'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구경모(세종)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