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한길 발언 하나에 여론 돌풍
당 지도부 긴박한 조치에도 잡음 계속
후보들 상반된 입장, 전대 흥행 불투명

국민의힘 전당대회 방해 논란 당사자인 전한길 씨가 당 윤리위원회의 징계 절차가 시작된 11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김근식 최고위원 후보에 대한 징계 요구서를 전달하기에 앞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사 강사 출신 전한길씨 논란이 국민의힘 8·22 전당대회의 모든 이슈를 집어삼켰다. 전씨 논란으로 전당대회 흥행에 빨간불이 켜지자 당 지도부가 11일 뒤늦게 강경 대응에 나섰다. 하지만, 일부 후보들이 전씨를 옹호하면서 전당대회 분위기가 한층 어수선한 모습이다.
전씨는 지난 8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국힘 전당대회 합동토론회에 '전한길뉴스' 발행인 자격으로 기자석에 앉아 '반탄'(탄핵반대)파 후보 연설에는 "잘한다"고 외친 반면, '찬탄'(탄핵찬성)파 후보 연설 때는 "배신자"라고 소리치며 청중들에게 구호를 유도해 논란이 됐다.
논란이 커지자 국민의힘 윤리위와 선관위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윤리위는 이날 회의에서 징계 개시를 의결하고 전씨에게 서면 소명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여상원 윤리위원장은 "민주적 정당이라면 (소속된) 사람도 그 절차를 따라야 하는 것이 원칙"이라며 "(징계가) 가볍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징계 수위는 제명, 탈당권유, 당원권정지, 경고, 주의 중 14일 회의에서 확정된다.
선관위는 행사장과 시·도당에 등록·허가된 기자만 취재할 수 있고, 당원의 질서 문란 행위를 금지한다는 내용의 공고문을 부착하기로 했다. 당 지도부도 징계와 별개로 전씨의 전대 행사장 출입을 금지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전한길씨 측에서 언론 자격으로 (전당대회에) 참여하겠다고 했지만 당 내규에 따라 공보국 출입 등록을 마친 기자만 가능하다"며 "내일(12일) 진행할 부·울·경 합동연설회에 (전씨는) 참여할 수 없다. 이 부분은 철저히 지켜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날 국민의힘 송언석 비대위원장도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전당대회에서 소란을 피워 당의 명예를 실추시키고, 분열과 갈등을 조장하는 선동 행위는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전씨 논란을 진화하고 나섰지만, 전당대회에 출마한 일부 후보들은 전씨를 오히려 옹호하는 등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김문수 당대표 후보는 10일 방송토론회 후 기자들과 만나 "징계가 능사가 아니다"라고 했고, 장동혁 후보도 SNS에 "전한길 한 사람을 악마화하고 극우 프레임으로 엮으려는 시도에는 동의하기 어렵다"고 했다.
김민수·김재원·김태우·손범규 최고위원 후보는 11일 전씨가 공동 주최한 자유우파 유튜브 연합 토론회에 출연해 전씨에 대한 당의 조치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김태우 후보는 "전한길 선생님께서 적절한 정도의 얘기를 했을 뿐"이라고 했고, 김재원 후보는 "출입 금지는 일종의 보복 금지"라고 주장했다.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