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 시장의 조직 확대로 인한 문제 지적
출연기관 통합 취지 무색, 재정 부담 증대
김 시의원, 행정 효율성 회복 촉구

김대현 대구시의원
김대현 대구시의원(서구1)은 지난 12일 열린 제319회 임시회 제3차 본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전임 시장 시절 무리하게 추진된 조직 확대와 산하기관 통폐합의 폐해를 지적하며 조속한 정상화를 촉구했다.
김 시의원은 "전임 시장은 대권 도전을 위한 보여주기식 사업에 치중하면서 산하기관 통폐합과 본청 조직 확대를 남발했지만, 목표로 내세웠던 행정 효율성 제고도, 재정 건전화도 달성하지 못했다"며 "결국 방만한 조직 운영과 시민 피해라는 부작용만 남겼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공공시설관리공단 정원은 2022년 1천433명에서 지난해 1천590명으로 늘었고, 인건비도 683억원에서 815억원으로 급증했다"며 "효율성과 재정 건전화라는 통합의 취지는 사라지고 혈세 부담만 커졌다"고 지적했다.
또, "공연·미술·관광 등 서로 다른 영역을 충분한 검토 없이 통합한 대구문화예술진흥원의 경우 원장의 인사 전횡과 수당 잔치, 서로 간 고발과 진정으로 시민들이 마땅히 누려야 할 문화예술 서비스가 무너져 내리고 있다"고 했다. 이어 "대구교통공사도 여전히 공무원 파견 인력이 남아 있어 공무원과 공사 직원 간 갈등을 낳고 있으며, 10개 사업소를 묶어 신설한 도시관리본부는 결재라인 이중화와 총괄·시행 부서의 협업 부재로 행정 절차만 복잡해져 시민 불편만 늘어난 상황을 초래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시의원은 "방만한 조직 구조는 지금 이 순간에도 시민 세금을 갉아먹고 있으며, 다음 시장의 취임 전까지 방치한다면 정상화에는 더 큰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며 "지금이야말로 산하기관 관리 체계를 재정립하고 명분을 잃은 본청 조직을 축소·전환해 행정의 효율성과 책임성을 회복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진식
정치 담당 에디터(부국장)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