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일보TV

  • 가을빛 물든 대구수목원, 붉게 타오르는 꽃무릇 군락
  • “익숙함에 새로움을 더하다”…서문시장 골목에서 만난 이색 김밥

“‘대구 3개·경북 14개’ 시·군·구엔 민간 산후조리원조차 없다”

2025-10-01 19:17
산후조리원 모습. 영남일보DB

산후조리원 모습. 영남일보DB

전국 및 대구경북지역 산후조리원 운영 현황. <박희승 의원실 제공>

전국 및 대구경북지역 산후조리원 운영 현황. <박희승 의원실 제공>

시도별 산후조리원이 없는 기초지자체 현황. <박희승 의원실 제공>

시도별 산후조리원이 없는 기초지자체 현황. <박희승 의원실 제공>

국내 '산후 돌봄' 기반 시설의 민간 의존도가 높은 가운데 수도권을 제외한 대구경북 등 지방 곳곳에선 이마저도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산후조리원이 한 곳도 없는 대구는 산후 돌봄의 고급화에 따른 금전적 부담 탓에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희승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대구지역엔 올 상반기 기준, 민간산후조리원 21곳이 운영 중이다. 공공 산후조리원은 단 한 곳도 없다. 경북엔 민간산후조리원 11곳, 공공산후조리원 3곳이 있다.


대구와 경북엔 행정구역별로 산후조리원이 아예 없는 지역도 수두룩했다. 대구는 9개 구군 중 중구·남구·군위군 3곳에 민간산후조리원이 없다. 경북은 22개 시·군 중 영주·문경·성주·칠곡·봉화·울릉 등 14곳에 산후조리원이 전무했다.


현재 전국 산후조리원 수는 모두 466개소로 민간 445개소(95%), 공공 21개소(5%)다. 지역별로는 경기에 32%(150개소)가 집중됐고, 서울(25%·116개소)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세종(1.3%·6개소)과 광주·울산·제주(각 1.5%·7개소) 등은 산후 돌봄 환경이 열악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공공산후조리원이 없는 곳은 대구를 비롯해 부산, 인천, 광주, 대전 등 8곳으로 집계됐다. 민간·공공산후조리원 모두 없는 시·군·구는 전체 229곳 중 99곳(43%)에 달했다.


박은희 대구정책연구원 인구복지전략랩 단장은 "공공 산후조리원에 대한 제언이나 연구는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며 "다만,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정책을 다양한 형태로 도입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구의 경우 민간 조리원이 충분하기 때문에, 일부에 인증·혜택 등을 통해 공공성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 경북은 공공 조리원을 확충하되 막연히 없는 지역에 인프라를 확보한다는 생각은 지양해야 한다. 주요 의료시설 인근 등 제반 상황을 충분히 고려한 뒤에 효율적인 연계를 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구지역 산후조리원 평균 가격은 2020년 237만원에서 지난해 299만원으로 26% 상승했다. 같은 기간 최고 가격은 320만→600만원으로 87% 급등했다. 같은 기간 경북은 평균 가격은 191만→221만원, 최고 가격은 240만→290만원으로 널뛰었다.



기자 이미지

최시웅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