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대구경북 시군구별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및 정신과의사 수 표.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실 자료 재가공
대구경북(TK)의 인구 감소지역이 높은 자살률과 정신건강 의료 공백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9일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통계청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대구와 경북의 인구 감소지역 18곳 중 12곳의 자살률이 전국 평균(10만 명당 29.1명)을 웃돌았다.
특히 봉화군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55.0명으로 전국 평균의 약 1.9배에 달했다. 하지만, 정신과 의사는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성주군 역시 자살률이 50.4명에 이르는 등 심각성을 보였다.
정신건강 의료 접근성은 더욱 열악했다. 경북의 인구 감소지역 15곳 중 봉화군, 고령군, 영양군, 영덕군, 울릉군 등 5곳과 대구에 편입된 군위군에는 정신과 의사가 전무했다.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상위 10곳 및 비인구감소지역 비교 표.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실 제공
이런 현상은 전국적인 인구 감소지역 문제와 궤를 같이한다. 2024년 기준 전국 인구 감소지역 89곳의 평균 자살률은 10만 명당 36.3명으로, 비인구 감소지역(29.5명)보다 6.8명 높았다. 자살률 상위 10개 지역 모두가 인구 감소지역이었다.
또한 정신과 의사가 한 명도 없는 전국 28개 시군구 중 85.7%에 달하는 24곳이 인구 감소지역에 집중돼 있어, 구조적인 의료 불균형 문제를 드러냈다.
김 의원은 "인구 감소지역의 높은 자살률과 정신과 의사 수 부족은 해당 지역의 열악한 보건의료 환경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보건복지부는 자살률이 높은 인구 감소지역에 대한 심층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 김선민의원실 제공

정재훈
서울정치팀장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