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교육부 공문서 사용 줄어
‘초등 돌봄 교육’, ‘돌봄 및 방과후’ 등 혼재 표기
사업 2년 만에 재변경 시 학교 현장 혼란 우려
교육부 홈페이지
초등학교 저학년 돌봄 프로그램인 '늘봄학교'가 행정 서류상에서 시나브로 사라지고 있다. 최근 교육부가 관련 공문에 늘봄과 함께 여러 용어를 혼재해 사용하면서 윤석열 정부 사업 지우기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만약 익숙해진 '늘봄' 용어가 없어지면 일선 학교 현장과 학부모들은 적잖이 혼란을 겪을 수 있고, 예산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지역사회에서 흘러나온다.
11일 영남일보 취재 결과, 기존 '늘봄'으로 통일돼 표기됐던 교육부 공문에서 최근 '초등 돌봄 교육' '돌봄 및 방과후학교' 등 다양한 용어가 등장하고 있다. 교육부 홈페이지에도 '초등돌봄교육'이라는 메뉴가 있지만, 늘봄학교 신고센터 메뉴도 있다. 이 사업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겐 적잖은 혼란을 줄 수 있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늘봄과 함께 의미를 풀어서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사업이 처음 시작된 지난해에 통일된 표현을 쓴 것과 비교하면 최근 늘봄 명칭 사용은 눈에 띄게 줄었다"고 했다.
늘봄학교는 초등학교에서 정규 수업 시간 전후로 운영하는 교육·돌봄 프로그램이다. 초1 학생을 대상으로 추진됐고, 올해는 2학년까지 확대됐다. 내년엔 3학년 적용이 검토될 만큼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지역 교육계에선 이재명 정부가 늘봄 명칭을 내년 사업부터 변경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 교육 관계자는 "학령인구 감소 탓에 돌봄 정책의 중요성은 모두 안다. 현 정부가 전 정부의 사업 명칭으로 계속 사용하는 것을 꺼릴 수 있다"며 "다만 특별한 이유 없이 2년 만에 또다시 변경한다면 학교 현장 혼란과 예산 낭비로 비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교육부엔 늘봄학교사업 운영을 위한 교육복지늘봄지원국 산하 '늘봄학교정책과'가 있다. 전국 시도에도 부서가 있다. 당연히 대구시교육청 초등교육과엔 늘봄학교담당(계)이 있다. 실제 늘봄학교를 운영하는 초등학교엔 '늘봄지원실'이 존재한다. 늘봄지원실장을 중심으로 늘봄실무사·늘봄전담사가 근무한다. 관련 부서와 인력 직책엔 하나같이 늘봄이 붙는다. 늘봄 홍보를 위한 책자 및 안내, 사이트 등을 포함하면 명칭 변경 범위는 더 확대된다. 지난해 대구에선 늘봄으로 명칭이 바뀌면서 예산 수 천여만원이 소요됐다.
초1·3학년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작년에 학부모들 사이에서 늘봄 개념을 두고, 학교에 문의하거나 엄마끼리 대화하는 등 혼란이 있었다"며 "또다시 바뀐다면 재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당장 교육부가 늘봄 명칭에 대한 방침을 내놓은 건 없다.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명칭 변경에 대해선 좀더 지켜봐야 한다"며 "우리는 현재 자체 공문 발송 시 늘봄을 공식적으로 사용한다"고 말했다.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