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1124020170302

영남일보TV

  • [TK큐]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장애인 이동권은 어디까지 왔나
  • “배우처럼 연기하고 촬영까지”…영천 신성일기념관 체험형 전시 인기

대구시, ‘2025년 스마트도시’ 인증 획득…수성구 인증 연장 결정

2025-11-24 18:02

AI·데이터 기반 ‘미래 도시’ 입증…인공지능 기반 스마트교통플랫폼 및 데이터 안심구역 구축 등 ‘호평


국토부 제공.

국토부 제공.

정부가 대구시를 '2025년 스마트도시'로 신규 인증했다. 특히 AI(인공지능) 기반 스마트교통플랫폼과 데이터안심구역 구축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국토교통부는 24일 "대구를 비롯해 경기 안양시, 부천시, 수원시 등 총 9개 지자체를 올해 스마트도시로 신규 인증했다"고 밝혔다. 국토부가 2021년부터 시행중인 스마트도시 인증제는 국내 도시의 스마트화 수준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우수 도시 사례를 확산하기 위한 제도다. 인증은 도시 혁신성, 거버넌스 및 제도적 환경, 서비스기술 및 인프라 등 3개 분야 53개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평가와 검증 절차를 거쳐 부여된다.


대구가 이번 인증에서 특히 호평을 받은 분야는 '데이터 생태계 조성'이다. 우선 교통 분야에서의 디지털 혁신이 돋보였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대구시는 관내 주요 교차로 250곳에 900여대의 'AI 기반 엣지 CCTV'를 설치해 교통정보 13종을 수집·관리하는 플랫폼을 구축했다. 또 이와 연계해 교통신호체계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터를 통해 상습 혼잡구간의 교통량을 정밀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아울러 시민과 기업을 위한 데이터 활용 환경도 대폭 강화된다. 대구시는 올해 대구스마트시티센터 내에 '데이터 안심구역'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그간 공개되지 않았던 금융, 의료, 연구 등 14개 분야 171종의 데이터를 시민과 기업이 안전하게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어 신규 비즈니스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시는 이번 인증을 발판으로 스마트도시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기로 하고, 수성 알파시티 일원에 올해년부터 2027년까지 전국 최초로 '스마트도시 특화단지'가 조성할 방침이다. 시는 이 곳을 국산 반도체를 활용한 온디바이스 AI 서비스 개발과 실증을 지원하는 '민간 개방형 R&D 생태계'의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복안이다.


이와 함께 대구 수성구도 기존 인증 유효기간 만료에 따른 재심사를 통과해 인증 연장이 결정됐다. 수성구는 지난해 첫 인증 후 스마트주차정보시스템 구축으로 주차 환경을 개선하고, AI·코딩 등 디지털 체험이 가능한 미래교육관을 설립·운영했다. 이와 함께 스마트 관제 시스템 기반의 AI 활용 실종자 찾기 서비스 등 첨단 기술 사업에서 성과를 인정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기자 이미지

구경모(세종)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