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40305.010010708530001

영남일보TV

14만㎡, 기회의 땅으로…

2014-03-05

올 연말 이전 경북도청의 후적지 개발
후유증 최소화로 대구 도약 발판 삼아야

14만㎡, 기회의 땅으로…
경북도청 이전을 대구가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리적으로 멀어지기 때문에 경북과의 유대감이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지만, 객관적으로 서로를 보게 돼 관계가 더욱 돈독해지면서 지금보다 더 나은 대구·경북을 만들 수 있다는 기대감도 크다. 올 연말 안동과 예천으로 신청사를 지어 이전하는 대구시 북구 산격동 경북도청 전경. 손동욱기자 dingdong@yeongnam.com

올 연말 경북도청 이전으로 대구가 새로운 시험대에 선다.

100여 년 역사의 경북도청이 대구를 떠나 안동·예천으로 옮기면서 한울타리에서 함께 성장해왔던 대구와 경북도가 물리적으로 공식 이별한다.

행정·경제적 이질감을 키우는 단초가 돼 향후 협력이 어려워질 것이란 우려와 함께, 한 발 떨어지면 객관적인 시각으로 상생 협력하는 분위기가 더 강해질 것이란 기대도 동시에 나오고 있다.

여기다 14만여㎡에 이르는 도청 후적지는 대구에 남는 몇 안 되는 개발 부지로 그 활용 방안은 영남의 중심을 꿈꾸는 대구의 새로운 과제로 던져졌다.

앞서 대구와 같은 경험을 한 곳은 광주시다. 전남도청이 2005년 무안으로 이전하면서 광주는 인구감소와 그에 따른 도심공동화 현상을 겪었다. 아직도 이런 현상이 완벽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광주 지역 관계자들은 전하고 있다.

빠져나간 인구와 자금은 도청이 옮겨간 무안을 살찌웠다. 같은 기간 전남도청을 새롭게 품은 무안의 인구는 팽창했고, 산업도 활기를 띠며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았다.

문제는 대구가 이 같은 앞선 경험을 참고해도 이전의 후유증을 건너뛰기는 힘들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철저하게 준비한다 해도 도청 이전에 따른 기존 주민들의 고통분담은 어느 정도 불가피한 것이 현실이다.

전남도청 이전 당시에는 도심 재생 등의 개념도 거의 없던 상황이었지만, 광주시는 국비 확보 등을 내세워 주민을 설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청 이전 직후에는 문을 닫는 가게가 속출했고, 집값도 떨어졌다. 아직도 이런 불만의 목소리는 적지 않다. 다행히 국립 ‘아시아문화전당’ 공사가 10월 준공 예정(내년 7월 개관 예정)으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옛 도청사 주변도 점차 활기를 되찾는 분위기다.

광주시청 공무원들과 인근 부동산중개사무소 등에 따르면, 3.3㎡당 400만~600만원 정도이던 옛 도청 인근 금남로 주변 땅값은 도청이전 이후 200만원대까지 떨어졌다가 최근 들어 400만원대로 회복했다.

전남도청 이전 당시 광주시 도심 공동화 대책을 담당했던 박남원 부이사관(2015년 광주 하계U대회 기획본부장)은 “대구와 광주의 상황이 다를 수 있지만, 그렇다고 (도청 후적지 개발 방안을 놓고) 대구에는 다시 못 올 기회를 눈앞의 민원과 어려움 때문에 쉽게 결정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는 올 연말 안동·예천 신청사 건물이 완공되면 본격적으로 청사 이전에 나설 계획이다. 2011년 10월 안동시 풍천면 갈전리 24만5천㎡ 부지에 착공한 경북도 신청사는 연면적 14만3천㎡(지하 2층~지상 7층) 규모로 공사 중이다. 3일 현재 총 공정률은 65%다.

노인호기자 sun@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노인호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손동욱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