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00702010000311

영남일보TV

코로나19 확진자 제한적 동선 공개에 불안감...대구시 "은폐 의도 없다"

2020-07-04
동선
7월1일 신규확진자 동선. 방역당국의 지침에 따라 시간대별 이동경로가 아닌 일부 장소만 표기돼 있다 대구시 홈페이지 캡처

지난달 30일부터 대구시가 코로나 19 확진자 동선을 제한적으로 공개하면서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대구시는 1일 남구에 거주하고 있는 신규 확진자의 동선을 공식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개했다. 해당 게시물을 보면 지난달 29일 확진자가 방문한 식당의 주소와 머문 시간만 적혀 있을 뿐 다른 사항은 확인할 수 없다.

2일 해외유입으로 발생한 신규 확진자 2명 역시 '시설격리 중 확진 사례로 접촉자를 파악하지 못한 불특정 다수 이용 시설은 없다'고만 안내하고 있다.

시의 조치는 최근 수정된 중앙방역대책본부(이하 중대본)의 지침에 따라 확진자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확진자 동선을 제한적으로 공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30일 공포된 '확진환자의 이동경로 등 정보공개 안내'에 따르면 역학적 이유·법령상의 제한·확진자의 사생활 보호 등을 고려해 감염병 예방에 필요한 정보에 한해서 공개한다.

이전과 달라진 점은 '시간에 따른 동선 형태'가 아닌 '장소 목록'의 형태로 바뀐 것이다. 해당 공간 내 모든 접촉자가 파악된 경우에는 공개를 하지 않을 수 있으며, 집단발병의 우려가 높은 시설의 경우 중대본에서 공개를 별도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시민들은 방역당국의 방침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확진자와 자신의 접촉 여부를 명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직장인 이모씨(37)는 "신상 정보를 비공개하는 것에는 동의하지만 최소한 행선지나 이동수단은 알려야 하는 것 아니냐"면서 "동선이 겹치면 검사라도 받을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확진자를 마주친 적이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고 했다. 자영업자 김모씨(51)는 "개인의 피해를 염려해 공개를 제한한다면서 상호명과 주소까지 다 밝히는 것은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방역 조치가 완료됐다면 동선을 밝혀서 투명하게 관리하는 편이 더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방역당국은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확진자 동선 파악을 강조하면서도 사생활 노출로 인한 낙인효과 등 역효과가 적지 않아 동선 공개에 제한을 뒀다.

하지만 방역당국의 확진자 동선 공개 관련 지침은 권고사항으로 각 지자체의 판단에 따라 공개 범위와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실제 서울시를 비롯한 타 시도는 역학조사가 끝나는 대로 출퇴근 여부와 교통편은 물론 헬스장, 마트 등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시설 방문 등을 공개하고 있다. 서울시가 2일 홈페이지를 통해 동선을 공개한 서울시 1천323번 확진자의 경우 증상발현일인 지난달 20일부터 격리 직전인 1일까지 근무지, 호프집, 음식점, 약국 등 방문이력과 마스크 착용 여부 및 접촉자 유무를 밝히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역학조사를 통해 접촉자를 모두 파악하고 따로 조치를 마쳐서 공개를 하지 않은 것"이라며 "은폐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다. 공개가 되지 않은 장소들에 대해서는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설명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우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