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00908001807586

영남일보TV

[우호성의 사주 사랑(舍廊)]- 사주사랑 성격이 운명이다3

2020-09-08 18:10

 

우호성-1111111111.jpg

앞 회에서 통변성으로 성격을 아는 방법을 설명했다. 그리고 일간을 제외한 7개의 간지에 나타난 통변성 중 월지에 나타난 통변성 곧 월지 통변성이 그 사람의 성격을 가장 잘 대표한다고 이야기했다. 월지 통변성으로 성격을 아는 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월지의 위상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월지(月支)는 태어난 달의 지지를 일컫는 말이다. 사주의 중추(中樞)이며 근기운명을 관장하는 곳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월지 통변성을 보고 그 사람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리고 월지는 용(用)이다. 일간은 나 자신 곧 주체이므로 체(体)라고 하고, 체용(体用) 이론에 따라 월지는 용(用)이라고 한다.

체와 용은 불가분의 관계다. 체는 주(主)이고 용은 종(從)이며, 체는 하늘이고 용은 땅이며, 체는 해이고 용은 달이며, 체는 아버지고 용은 어머니며, 체는 남편이고 용은 어머니다. 체는 기(氣)이고 용은 질(質)이며, 체는 정신이고 용은 육체이며, 체는 뇌이고 용은 심장이며, 체는 사장이고 용은 노조위원장이다.

월지는 용이므로 월지의 통변성으로 격국(格局)을 삼는다. 격국이란 사주의 격식, 유형, 스타일이다. 혈액 형을 A형, B형, AB형, O형 등으로 분류하듯이 사주도 10개 통변성으로 유형을 나눠서 격국으로 정한다. 월지에 비견이 있으면 비견격, 겁재가 있으면 겁재격, 식신이 있으면 식신격, 상관이 있으면 상관격, 편재가 있으면 편재격, 편관이 있으면 편관격, 정관이 있으면 정관격, 편인이 있으면 편인격, 정인(인수)이 있으면 정인격(인수격)이라고 부른다. 다만 월지에 비견이나 겁재가 있으면 대개 시간(時干) 곧 태어난 시의 천간에 나타난 통변성으로 격국을 정한다.

월지 통변성으로 성격을 파악한다는 말은 월지 격국으로 성격을 파악한다는 말과 같다. 이제 월지 통변성 혹은 월지 격국으로 성격을 간파하는 법을 보자. 월지 통변성이 비견이나 겁재이면 다시 말해 비견격이나 겁재격이면 주체가 강하고, 자기주장이 뚜렷하고, 자립심과 독립심이 세다고 본다.

월지 통변성이 식신이면(식신격이면) 마음이 온화하고 넉넉하며, 명랑하고 쾌활하며, 예의범절이 바른 성격의 소유자라고 본다. 월지 통변성이 상관이면(상관격이면) 영리하면서 총명하고, 말솜씨가 뛰어나며, 감춤 없이 속을 털어놓는 솔직한 성격을 지닌 사람이라고 본다.

월지 통변성이 편재이면(편재격이면) 꼼꼼하고 치밀하며, 활달하고 화통하며, 악착같이 돈을 벌고 화끈하게 쓰기도 하는 성격을 가졌다고 본다. 월지 통변성이 정재이면(정재격이면) 근면하고 성실하며, 정직하고 곧이곧대로인 사람이라고 본다.

월지 통변성이 편관이면(편관격이면) 정의감과 의협심이 강하고, 과단성이 있으면서도 과격하기도 한 사람이라고 본다. 월지 통변성이 정관이면(정관격이면) 원칙주의자로서 정도를 걸으며, 인자하고 관대한 성격의 소유자라고 본다.

월지 통변성이 편인이면(편인격이면) 팔방미인으로서 재능이 많으며, 시작은 잘하지만 끝을 못 맺는 유시무종(有始無終) 스타일이며, 임기응변에 능한 사람이라고 본다. 월지 통변성이 정인이면(정인격이면) 총명하고 지혜로우며, 가슴이 따뜻하고 인자한 성품을 지닌 사람이라고 본다.

이상은 10가지 통변성으로 보는 성격의 원형일 뿐이다. 각 통변성의 강과 약에 따라 이 원형은 변질하여 본디 성격의 장점은 드러나지 않고 단점이 드러나기도 하고, 체와 용의 상호작용에 따라 본디 성격이 강력하게 표출되기도 하고 좀체 밖으로는 드러나지 않은 채 잠재해 있기도 하다.

가령 편관격이면 의협심이 있는 사람으로 본다고 했지만, 체가 매우 약한 사람(신약한 사람)이면 의협심을 전혀 발휘하지 못한다. 또 정인격이면 가슴이 따뜻한 사람으로 본다고 했지만 인성이 지나치게 많으면 예측불허의 언행을 하며 남에게 베풀기는커녕 인색한 사람이 된다.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고 했다. 그러나 명리학 공부를 깊이 하면 한 길 사람 속이 보인다. 그래서 명리학은 인간학이다.

 

 

■우호성<△언론인(전 경향신문 영남본부장)△소설가△명리가(아이러브사주www.ilovesajoo.com 운영. 사주칼럼집 ‘명리로 풀다’출간)△전화: 010-3805-1231>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