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식기반 산업의 중심인 '동대구벤처밸리'가 새로운 전기를 맞을 전망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과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인의 7대 비전에 따라 '대구경북경제과학연구원(이하 경제과학연구원)' 설립이 가시화하고 있어서다. 경제과학연구원을 통한 '지역산업 R&D 컨트롤타워' 기능이 장착되면 창업기업 육성의 모태인 동대구벤처밸리의 활성화에 촉진제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 경제과학연구원 추진 배경
갈수록 도시경쟁력이 쪼그라들고 있는 대구의 경우 특히 경제혁신의 주축인 기업 R&D 기능이 열악한 상태다. 미래 경제도약을 거론할 수조차 없는 형편이다. 대구과학기술진흥센터의 '지역 R&D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발전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 17개 광역단체의 R&D사업 투자 비중은 2.1%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62.8%는 서울·경기에 집중됐다. 이에 각 지자체가 주도하는 R&D 기획과 투자 기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앙부처 정책에 따른 R&D 사업은 하부시스템 부재로 한계가 있다. 이미 부산·대전·충남은 별도의 전담기관 및 조직을 운영 중이다.
홍준표 대구시장 당선인은 새 정부 경제정책 방향에 맞춰 공약을 수립했다. '동대구 도심융합 벤처밸리' 관련 공약에 경제과학연구원과 경북대·삼성창조캠퍼스를 연계하는 방안이 그것이다. ABB(AI·블록체인·빅데이터)산업 기업유치, 동부소방서·법원 후적지 개발 등과 맞물리면서 동대구로 일대에 획기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동대구벤처밸리 혁신 주도할까
경제과학연구원 설립안은 아직 구체적으로 설계가 돼 있지 않다. 다만 내년부터 2027년까지 투입될 총사업비 2천470억원 전액 국비로 지원돼야 한다는 구상안을 대구시가 정부에 최근 전달한 정도다. 앞으로 협의 과정에서 주목할 부분은 대구경북권 기업의 원천기술 개발에서부터 상용화까지 전 과정에 걸쳐 지원하는 기능을 확실히 확보하느냐다. 현재까지 제시된 경제과학연구원의 주요 기능은 큰 틀에서 △정책연구 △중개연구 △원천융합연구 등 세 가지다. 과학기술, 산업, 인재육성 및 산학협력 관련 정책 연구를 진행하는 한편 인재양성·기업지원·기술창업플랫폼 등의 역할도 수행할 것으로 점쳐진다.
특히 눈여겨볼 기능은 '원천융합연구'를 꼽을 수 있다.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R&D 지원은 물론 이를 기반으로 한 제품화와 생산기술 개발을 돕는 것이다.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갈증을 느끼지만 장기간 투자가 필요한 탓에 중소기업 입장에선 지원 정책이 절실한 분야이다. 인적·물적 연구 인프라를 구축하고 공동활용이 가능해진다면 지역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상생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제과학연구원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적잖다. 정부출연 연구기관 분원과 산업경제동향 분석 및 정책연구를 담당하는 지자체 출자·출연기관 등과 기능이 일부 중복될 수 있어서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과학연구원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한창 진행 중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대구경북연구원, 대구테크노파크 등 13개 기관 관계자 및 전문가들은 준비위원회(가칭)를 구성해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가시적인 계획안은 하반기에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준비위원회 관계자는 "단기적 성과 위주가 아닌 원천기술 확보가 중요한 기능이 될 것이다. 장기적으로 보고 지역 혁신을 주도하는 기관이 될 수 있도록 충분한 의견수렴 및 토론을 해야 한다"고 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정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