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20724010003005

영남일보TV

민선 8기 대구시 주요 사업 재검토·재정혁신 방안에 일선 기초지자체도 '술렁'

2022-07-25

트램 번복, 시청사 기금 폐지, 농산물도매시장 이전, 공유재산 매각 등

민선 8기 대구시 주요 사업 재검토·재정혁신 방안에 일선 기초지자체도 술렁
대구시 산격동 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민선 8기 대구시의 주요 사업 재검토와 재정혁신 정책에 일선 기초지자체도 술렁이고 있다. 기존 대구시 정책의 효용성을 점검하고 채무 감축의 명분이지만, 이에 따른 일부 혼란상도 감지된다.

우선, 대구시가 도시철도 순환선 건설 방식을 '트램에서 모노레일로 변경'하겠다고 밝히자, 트램 우선 도입이 예정됐던 서구 일각에선 공사 지연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홍준표 대구시장은 당선 직후 기자회견에서 "트램은 대구 시내에 적절치 않은 교통수단이다. 그걸 잘못 설치하면 대구 시내 전체 교통 마비가 온다"라며 트램 추진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피력한 바 있다.

또한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도심 외곽 이전'이 대구시장직 인수위원회가 선정한 공약에 포함되며, 이를 두고 찬반 의견이 나오는 등 북구 일각이 술렁이는 분위기다. 


지난 1988년 문을 연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은 공간 포화, 건물 노후화로 대책 요구 목소리가 이어졌다. 현대화 방식을 두고 이전 또는 전면 재건축으로 상인들 의견이 엇갈리면서 우여곡절 끝에 대구시는 2018년 '기존 터 확장, 시설 재건축' 방식을 확정한 바 있다.

달서구는 '신청사 건립' 문제로 한바탕 소동을 빚고 있다. 대구시가 재정혁신을 통한 채무 감축 방안 중 하나로 '청사건립기금'을 비롯한 9개 기금을 폐지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청사건립기금이 폐지되더라도 신청사 건립에는 차질이나 변화가 없다는 게 대구시의 입장이지만, 달서구 일각에서는 신청사 이전 사업이 행여 무산될까 우려 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대구시의 또 다른 재정혁신 방안인 '유휴·미활용 공유재산 매각 계획'을 두고도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나온다.


대구시는 최근 일부 공공청사 부지(2곳)의 소재지 구청에 공유재산 매각과 관련한 의견을 묻는 공문을 보냈다. 시는 이들 부지가 아직 매각 대상은 아니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에 대해 대구 한 기초지자체 관계자는 "유휴·미활용 공유재산 매각 등을 통해 마련한 재원으로 채무와 이자를 감축하겠다는 취지는 이해한다"면서도 "그러나 건물이나 토지 등 공유재산은 한번 처분하고 나면 다음에는 그 가격(매각 금액)으로 구입하기 힘들다는 점도 고려해 꼼꼼하게 따져보고 매각을 추진했으면 한다"고 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노진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