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20907010001000

영남일보TV

정무1·2비서관에 전희경 장경상 임명...대통령실 행정관급 실무진 인적쇄신까지 추석전 마무리

2022-09-08
정무1·2비서관에 전희경 장경상 임명...대통령실 행정관급 실무진 인적쇄신까지 추석전 마무리
대통령실이 7일 발표한 전희경 신임 대통령실 정무 제1 비서관(왼쪽)과 장경상 제2 비서관. 연합뉴스
정무1·2비서관에 전희경 장경상 임명...대통령실 행정관급 실무진 인적쇄신까지 추석전 마무리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7일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후보자 및 대통령실 인사 발표를 위해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룸으로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7일 대통령실 정무1·2비서관에 전희경 전 국민의힘 의원과 장경상 국가경영연구원을 각각 임명하고 대통령실 조직을 일부 개편했다.


또한 행정관급 실무진 50여명도 물갈이 되는 등 지난달 윤 대통령 취임 100일을 즈음해 불거졌던 대통령실의 '인적 쇄신'이 당 초 목표인 추석 연휴 전 마무리되는 모양새다.

김대기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정무비서관 내정 관련 브리핑을 갖고 "비서실 조직 개편과 인사가 좀 있었다"고 인적 쇄신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먼저 공석이었던 정무1비서관에는 전희경 전 의원, 정무2비서관에는 장경상 사무국장, 국민제안비서관에는 정용욱 국무총리실 민정민원비서관이 각각 임명됐다. 시민사회수석실 국민제안비서관은 정용욱 국무총리실 민정민원비서관이 맡게 됐고, 시민사회수석실 시민소통비서관은 직무대리로 김대남 행정관이 선임됐다.

조직 개편과 관련 김 비서실장은 "시민사회수석실에 있던 디지털소통비서관을 홍보수석실로 이관하기로 했고, 종교다문화비서관실은 사회공감비서관으로 명칭만 변경하기로 했다"며 "홍보수석실은 디지털소통비서관과 해외홍보비서관을 신설하기로 했다. 해외 홍보는 외신대변인도 겸직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 비서실장은 "종교다문화비서관은 직무대리로 전선영 선임행정관이 맡기로 했으며, 홍보수석실은 강인선 대변인이 해외홍보비서관으로 옮겨 해외 홍보와 외신대변인을 겸직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지난달 21일 정책기획수석(이관섭) 신설과 새 홍보수석(김은혜) 영입으로 시작된 이번 인적 쇄신은 비서관급 중폭 교체·행정관급 실무진 50여 명 물갈이 등 당초 전망보다 대대적 개편으로 마무리됐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실 인적 쇄신에 대해 "(지금까지) 50명 정도가 될 것"이라며 "인적 쇄신, 비서실 쇄신은 필요에 따라 계속 진행될 것이다. 몇 명인지가 중요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 출범) 100일이 지나면서 업무 기술서를 다 받았고, 누가 어떤 조직에 근무하는 것이 맞는지 틀리는지 조직 진단을 했다"며 "그다음에 다각적으로 근무 기강을 봤고, 자신에게 주어진 기능과 역할이 적재적소인지 등을 봤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적 쇄신은 윤 대통령도 말했지만, 정치적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어떻게 하면 좀 더 능률적·효율적으로 움직여 국민에게 최선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느냐에 포인트를 뒀다"며 "(인사 개편 문제는) 수석비서관들에게 판단을 다 맡겼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또 "(대통령실 조직을) 처음 만들 때는 시간도 없고, 누가 이 비서실에 적합한지, 몇 명이 필요한지 정답이 없을 때였지만 100일 지나니 눈에 보여서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쇄신을) 하는 것"이라며 "행정관급 쇄신은 조직 진단 차원에서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시스템을 잘 갖춰놓고 쇄신은 계속 있을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복두규) 인사기획관은 검찰에서 왔지만, 1만2천명이 되는 대검찰청 조직의 인사업무를 10년 이상 하신 분이고 실제로 (인사 개편 작업을) 해보니까 아주 객관적이었다"고 말했다.

인사 난맥상 지적이 있다는 질문에 대통령실 관계자는 "노무현 대통령이 집권 1년 지나고 인사 쇄신을 했는데 그때 '난 여러분에게 기회는 드릴 수 있지만, 보장은 해줄 수 없다'고 했는데 처음에는 어느 정권이나 겪는 진통이라고 이해해주시면 좋겠다"고 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