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21002010000118

영남일보TV

대통령실, 尹 순방 등 외교일정에 "견고한 국익·동맹 확인"…野 공세 반박

2022-10-02 16:52
대통령실, 尹 순방 등 외교일정에 견고한 국익·동맹 확인…野 공세 반박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이 지난달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쉐라톤 뉴욕 타임스퀘어호텔 내 프레스센터에서 현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실이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외교 일정에 대해 2일 "자유와 연대를 되새긴 시간으로 견고해진 국익과 동맹을 확인했다"며 주요 성과를 강조했다.


영국·미국·캐나다 순방 일주일 후에 나온 대통령실의 이같은 입장은 야당이 이번 순방을 '외교 참사'라고 규정짓고 박진 외교부 장관 해임건의안을 통과시키는 등 '총공세'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즉 이를 반박하고 성과를 부각하는 한편 민생에 현안을 강조하며 '순방 후폭풍 정국'에서 벗어나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대통령실 김은혜 홍보수석비서관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윤석열 정부는 외교 일정을 마친 이제 다시 민생에 집중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먼저 김 수석은 최근 뉴욕(유엔), 캐나다 순방과 지난달 29일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 방한을 통해 윤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외교 방향을 명확하게 선언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 금융 안정을 위한 유동성 공급, 대북확장억제 등 당면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높였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수석은 윤 대통령의 유엔 연설 핵심 기조는 '자유와 연대'였다며 "대한민국은 자유 세계의 원조를 통해 세계 10대 경제 대국으로 올라선 나라가 되었다는 점에서 20세기 자유와 연대를 가장 성공적으로 보여준 나라"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제 세계시민을 위해 가난, 전쟁, 인권유린, 대량 살상 무기로부터 자유를 수호하는 책임 있는 국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줄 것임을 유엔 연설을 통해 천명했다"고 자평했다.

김 수석은 이같은 외교 일정을 통해 공고한 한미동맹을 재확인했다고 짚기도 했다. 그는 "자유와 연대가 우리 외교의 지향이라면, 그 지향을 달성해온 우리의 경험은 한미동맹"이라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마이클 블룸버그 전 뉴욕시장,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과 만나 자유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가치를 공유하는 한미동맹의 공고화를 재확인했다"고 했다. 한미는 연합방위태세 강화를 약속하면서 특히 7차 핵실험과 같은 북한의 심각한 도발 시 한미 공동대응조치를 즉각 이행하기로 했다는 점도 설명했다.

해리스 미 부통령이 윤 대통령을 예방한 것에 대해서도 김 수석은 IRA, 대북 억지력 측면에서 성과가 분명했다고 강조했다. 김 수석은 "바이든 대통령과 이미 뉴욕에서 공감한 윤 대통령의 '한미 FTA 정신에 부합하는 양국관계'를 감안해 해리스 부통령이 다시 확인한 '창의적 해법'에 대해서도 양국 간 협의가 진행 중"이라며 미 상원에서 IRA 개정안이 발의됐다는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김 수석은 한미 양국의 유동성 공급장치 실행 약속 역시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만남을 통해 구축되고 있다"며 지난 순방을 통해 첨단산업 분야 7개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총 1조6천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것도 경제적 성과로 꼽았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정상회담을 통해서는 세일즈 외교 성과가 있었다고 했다.

이외에도 영국 일정에 대해서도 그는 "윤 대통령은 자유와 민주주의의 상징이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서거에 조의를 표했다. 이에 대해 영국 정부는 제임스 스펜서 클레벌리 외교 장관의 방한을 통해 우리 측에 사의를 표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수석은 "어느 때보다 외교가 중요한 시점이다. 우리에게 외교란 도약이냐, 도태냐를 결정하는 담장 위를 걸어가는 일"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의 장래를 위해 국민과 국익을 지켜갈 것"이라면서 이제는 민생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의 이같은 입장은 윤 대통령이 순방 이후 보였던 행보를 다시 한번 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민주당이 '외교참사'를 이유로 국회에서 처리한 박진 장관 해임 건의안에 대해 즉각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윤 대통령은 순방 후 첫 출근길 문답에서 "사실과 다른 보도로 동맹을 훼손한다는 건 국민을 굉장히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라며 순방 기간 발생한 논란에 대해 언론에 공세를 취한 바 있다.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의 이같은 입장은 민주당이 제기하는 '외교 참사' 프레임을 반박하고 야권 공세에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