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21006010000694

영남일보TV

국산차 신청후 출고 대기기간 최대 30개월로 늘어

2022-10-07

특히 하이브리드차 대기기간이 많이 길어져

반도체 수급난이 최근 완화추세지만 신차 출고 지연 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파악됐다. 제네시스 등은 최장 30개월을 기다려야하는 웃지못할 촌극도 벌어지고 있다.

6일 자동차 구매정보 플랫폼 '겟차'가 고객 계약정보를 토대로 국산차 출고시기를 분석한 결과, 현대차·기아·제네시스 30개 모델 가운데 26개 모델은 지난해에 비해 대기기간이 더 늘어났다.

지난해 10월 기준 평균 출고 기간은 4주∼11개월이었지만 이번 조사에선 2개월∼30개월로 대기 기간이 더 늘어났다. 특히 출고 지연은 하이브리드차를 중심으로 심화되는 양상이다.

현대차의 인기 모델인 아반떼 1.6과 그랜저 2.5 가솔린 모델은 전년 동기 대비 대기기간이 각각 6개월(4개월→10개월), 3∼4개월(3∼4개월→7개월)가량 길어졌다. 지난해 10월 기준 쏘나타, 그랜저, 싼타페 하이브리드 모델의 예상 인도 기간은 각각 4∼5주, 9∼10주, 6개월이었지만 이달에는 6개월, 8개월, 18개월로 크게 늘었다.

현대차의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는 상대적으로 출고 기간이 짧은 편이지만 이달 기준으론 차량을 인도받기까지 10개월에서 최대 30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GV80 2.5T 가솔린 모델은 계약부터 인도까지 약 30개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아의 경우, 대표 세단인 K3·K5 2.0 가솔린 모델 예상 출고 기간이 각각 4개월, 7∼8개월로 1년 전보다 평균 3∼5개월 늘었다. 또 K5·K8·쏘렌토 하이브리드 모델의 대기기간도 1년 새 각각 8개월, 2개월, 7개월 길어졌다. 다만 카니발은 7인승과 9·11인승 모두 대기기간이 6개월로 전년동기 대비 1개월가량 줄었다.

그간 출고 지연의 주요 원인인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은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급증한 차량 수요가 아직 해소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이 완화되고 있지만 이미 기존 계약된 물량이 많고 수요가 생산보다 많다"면서 "신차 출고가 정상화하기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우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