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민주연구원에 대한 검찰 압수 수색이 진행 중인 24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앞에서 검찰 관계자가 압수수색 물품을 담을 박스를 챙기고 있다. 연합뉴스 |
검찰이 24일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의 '불법 대선자금 수수 의혹' 수사에 속도를 내면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향한 수사망이 바짝 좁혀지고 있다.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이 이 대표와 그의 최측근 정진상 대표실 정무조정실장,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에 대한 폭로를 이어가는 등 법조계와 정치권의 이목이 이번 검찰 수사에 쏠리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강백신 부장검사)는 이날 오후 2시부터 2시간 정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 내 민주연구원에 있는 김 부원장 사무실을 압수 수색했다. 검찰은 지난 19일 첫 압수수색 시도에서 민주당 측의 완강한 저지로 발길을 돌렸으나, 닷새 만에 압수수색에 나선 것이다. 검찰은 김 부원장의 변호인 입회하에 그가 사용하던 컴퓨터 등에서 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구속된 김 부원장도 이틀 연속 서울구치소에 불러 조사했다. 김 부원장은 유동규 전 본부장, 정민용 변호사와 공모해 지난해 4∼8월 대장동 개발 민간업자 남욱 변호사로부터 4회에 걸쳐 8억4천700만원의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로 22일 구속된 바 있다.
검찰은 김 부원장은 물론 정진상 실장까지 수사선 상에 올린 모양새다. 정 실장은 수원지검 성남지청이 수사하는 '성남FC 후원금 의혹' 사건으로 출국 금지된 바 있다. 검찰은 위례 신도시·대장동 개발 민간사업자들의 뒷돈이 김 부원장뿐만 아니라 정 실장에게도 건너갔다는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다. 검찰은 유 전 본부장과 남 변호사가 2014년 성남시장 선거를 앞두고 정 실장에게 5천만원, 김 부원장에게 1억원을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한 상태다.
검찰은 김 부원장의 자금 수수 시기가 민주당 대선 예비경선 시기와 겹치는 데다 김 부원장이 이 대표의 대선 캠프 총괄부본부장을 지낸 점에 비춰 이 돈이 이 대표의 대선 자금으로 쓰였을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특히 가장 많은 5억원이 건네진 지난해 5월에 이 대표를 지지하는 국회의원 모임인 '성공포럼'이 발족한 점도 눈여겨보고 있다. 이에 검찰은 김 부원장을 상대로 자금 마련 과정에 이 대표가 직·간접적으로 지시·개입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이날 유 전 본부장 측이 이날 재판에서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사건 재판에 출석해 이재명 대표의 이름을 언급하며 책임을 돌려 화제를 모았다. 유 전 본부장의 변호인은 이날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 심리로 열린 재판에서 정영학 회계사에게 '당시 실질적 결정권자가 성남시장이 아니었는지'를 추궁했다. 때로는 이 대표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유 전 본부장은 최근 심경의 변화를 일으켜 이 대표에게 불리한 진술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한 언론 인터뷰에서도 "내가 벌 받을 건 받고, 이재명 명령으로 한 건 이재명이 받아야 한다"며 대장동 개발 비리 과정에 이 대표 역시 책임이 있다는 취지로 주장했다.
유 전 본부장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이 대표 등 이른바 '윗선'들이 '1원도 (받아) 쓴 적 없다'고 부인한 데 대해 "돈을 요구해 가지고 실컷 받아쓸 때는 언제고 만난 적도 없다? 내가 유령을 만났나?"라며 "검찰에 다 이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유흥주점에서 술을 한 100번 먹었는데 술값 한 번 낸 적이 없다. 그것만 해도 얼마일까"라고 의미심장한 발언을 이어나갔다. 이와 관련 검찰은 정 실장과 김 부원장이 2013년부터 당시 위례신도시 개발 민간사업자들로부터 술 접대를 받았다는 유 전 본부장과 남욱 변호사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