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새 20% 포인트나 비율 높아져
![]() |
국내 제조업 근로자 연령대별 비중. |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26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2001년부터 작년까지 20년 간 한국 제조업 근로자 연령대별 비중을 분석한 결과, 고령 근로자(50세 이상)의 비중이 2001년 11%에서 2021년 31.9%로 10년새 무려 20% 포인트나 증가했다.
50대 근로자의 비중은 9.0%→23.9%로 늘었고 60세 이상의 경우 2%→8%로 증가했다. 40대 근로자도 25.4%→27.0%로 소폭 올랐다.
반면 청년 근로자(15~29세) 비중은 29.7%(2001년)→14.8%(2021년)로 14.9% 포인트, 30대 근로자는 33.9%→26.4%로 7.5% 포인트 각각 줄었다.
이같은 고령화 추세는 미국, 일본보다 빠르다. 한국의 2011년 제조업 근로자 평균 연령은 39.2세에서 2021년 기준 43세로 급격히 올라갔다.
반면 일본은 2011년 41.6세에서 2021년 43.1세로 소폭 올랐다. 미국도 2011년 44.1세에서 2021년 44.2세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고령화로 인한 인건비 상승 영향으로 노동비용 증가 속도가 노동 생산성 향상 속도보다 빠른 점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제조업 노동 비용총액은 2011년 약 489만원에서 2020년 604만원으로 23.5% 증가했으나 같은 기간 노동생산성 지표는 99.5에서 115.6으로 16.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임금을 직무능력 또는 직무 가치에 따라 정하는 '직무급·직능급제'로 전환해야 한다"며 "경직된 노동시장의 유연화를 통해 청년 고용 문턱을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정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