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배치 등 허점, 논쟁의 불씨 될듯
![]() |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31일 오전 서울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방문, 조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태원 압사 참사' 발생 사흘째인 31일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정계 인사와 일반 시민들은 전국 각지에 설치된 합동분향소를 찾는 등 희생된 이들을 추모했다.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이날 오전 9시37분쯤 서울시청 앞 광장에 마련된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찾았다. 굳은 표정의 윤 대통령은 약 2분간 조문이 진행되는 동안 별다른 발언을 하지 않았으며 국화를 헌화하고 묵념한 다음 자리를 떴다. 여야 지도부도 일제히 분향소를 찾았으며, 대통령실을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를 국가애도기간 이후로 연기하는 등 일단 사태 수습과 유가족 위로에 전념하는 모습이었다.
행정안전부는 이태원 사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후 브리핑을 열고 지원책을 발표했다. 사망자 장례비는 최대 1천500만원, 위로금 성격의 구호금은 2천만원을 지급하고, 이송 비용도 지원한다. 유가족과 지자체 전담 공무원 간 일대일 매칭도 이뤄졌으며, 31개 장례식장에도 공무원을 파견해 원활한 장례를 지원할 예정이다. 사망자는 154명으로 집계됐고, 부상자는 늘어 중상 33명을 포함 149명이다.
재발 방지와 후속 조치에 대한 정부차원의 언급도 이어졌다. 윤 대통령은 확대주례회동에서 철저한 진상조사와 투명한 공개를 언급하면서 "이번 사고처럼 주최자가 없는 자발적 집단 행사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인파 사고 예방 안전관리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반면 수만 인파가 몰린 참사 현장에 경찰 인력이 제대로 배치되지 않고, 사전 관리체계가 전무했다는 비판이 이어지면서 논쟁을 불씨를 낳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날 "책임을 다하는 공당으로서 사죄드린다"면서도 "정부 당국 역시 할만큼 했다는 태도로 국민을 분노케 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