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0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이 주재로 '공공기관 안전 긴급 점검회의'가 열리고 있다. 연합 |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지 7개월이 지났지만, 아직 공공기관 임원의 10명 중 8명 이상이 문재인 정부 때 인사인 것으로 26일 확인됐다.
국민의힘 윤한홍 의원이 기획재정부로부터 받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 공시 임원 통계' 자료에 따르면 이달 15일 기준 350개 전체 공공기관의 기관장·임원 3천80명 중 지난 정부에서 임명된 인사가 2천655명( 86.2%)에 달했다.
새 정부 출범 후 임명된 임원은 313명(10.2%)이었고, 112자리(3.6%)는 공석이었다. 구체적으로 한국전력공사·인천국제공항공사·한국철도공사 등 36개 공공기관의 사장은 31명이 문재인 정부 때 임명됐고 윤석열 정부 들어 임명된 사장은 3명이다.
국민연금공단·국민건강보험공단·한국주택금융공사 등 준정부 기관 94곳과,한국수출입은행 등 기타 공공기관 220곳의 85%(267명), 749명의 감사 및 상임이사의 84%(628명)도 지난 정부 때 임명된 인사다.
이날 국민의힘은 전임 정부에서 임명된 공공기관장이 정권교체 이후에도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는다고 날을 세웠다.
정우택 국회부의장은 "공공기관 간부직은 정권 국정 기조와 긴밀히 연계해 업무 방향을 설정하고 추진해야 하는 요직"이라며 "민주당 정권을 심판하며 국민이 선택한 윤석열정부가 출범한 지 7개월이 지났는데도, 앞 정권 코드에 맞춰 일했던 사람들이 아직 자리를 차지 하는 것은 국민혈세만 축내는 '안면 몰수 기생행위'라고 비판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