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성 지지층 '이탈표 색출' '공천 살생부' 작성
지도부, 비명계 의원 등 돌릴 수 있어 고심
이재명 대표 사퇴론도 불거져 '어수선'
![]()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정청래최고의원이 2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무효표 논란 관련 논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이 어수선하다. 이재명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가까스로 부결된 데 따른 후폭풍이다. 지난 27일 실시된 체포동의안 투표 결과 민주당의 이탈표가 무더기로 나왔다.
28일 민주당 내부에선 이 대표의 소통 문제가 도마에 오르는가 하면 개표 결과를 믿을 수 없다는 반응까지 나오고 있다. 또 강성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이탈표 색출', '공천 살생부', '더불어민주당 낙선명단' 등이 나돌며 '찬성표를 던진 의원 색출'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
최강욱 의원은 MBC라디오에서 이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 결과에 대해 "개표 중간에 무효표 분류 여부를 두고 공백 시간이 있었을 때만 해도 이런 결과를 생각하는 분은 거의 없었다. 다들 (어차피 부결된 건데) 그냥 빨리 진행하자라는 정도로 그냥 웃고 있었다"며 "그 누구도 이런 결과를 상상하지 못했다"고 했다.
KBS 라디오에 출현한 박범계 의원도 "민주당에서 이탈표가 30표 이상 있는 것 같아서 매우 당혹스럽고 놀랐다"며 "불체포특권에 대한 생각, 내년 총선을 어떻게 하면 이길 수 있느냐는 생각, 선거제도 개편, 공천권 등이 엮인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이탈표를) 주도하는 분들이 30표 이상으로 수면에서 드러난 것 아니겠느냐"며 "토론을 통해 당 분열을 막아야 한다"고 했다. 이 대표 체제 유지가 가능할 지에 대해선 "속단하기는 어렵다"며 "이견의 근본적인 취지와 목표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되고, 그런 뒤에 이 대표가 심사숙고할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이탈표를 던진 의원들에 대한 비난도 이어졌다. 김민석 의원은 찬성표나 기권표를 던진 의원들을 향해 "앞으로는 당당히 스스로 의견을 밝히라"고 촉구했다. 그는 SNS를 통해 "표결에 찬성표나 기권표를 던지는 방식으로 단일대오에서 이탈한 정치행태는 실망을 넘어 비판을 피할 수 없다"며 "찬성이나 기권은 자유지만, 그간의 당내 토론과정에서 한 번도 공개적으로 주장하거나 토론하지 않고 은밀하게 투표한 방식은 아무리 생각해도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강성 지지층을 중심으로 시작된 '찬성표를 던진 의원 색출' 움직임을 둘러싼 분위기도 심상찮다. 강성지지층은 '반란군을 색출해야 한다'며 비명계로 알려진 의원들을 중심으로 이름과 사진, 해당 지역구 등을 나열한 이른바 '살생부'를 만들어 돌리고 있다. 특히 지난달 출범한 '민주당의 길' 의원이 집중 타깃이 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지도부는 당 핵심 지지층의 분노를 무시할 수 없지만, 이 대표 체포동의안 부결에 회의적이었던 비명계 의원들이 등을 돌릴 수 있어 고민에 빠졌다. 민주당 이경 상근 부대변인은 SNS에 "(의원들을 색출해 22대 총선 공천을 주지말아야 한다며 '살생부'를 만드는 건) 오히려 국민의힘이 즐거워하고 바라는 분열로 갈 뿐"이라며 "그러지 말아달라고 개딸(개혁의 딸)과 양아들(양심의 아들)에게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