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2차 국정과제점검회의에 입장하며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2차 국정과제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5일 복합위기 속 '외교'의 중요성을 강하며 "외교·안보는 우리 국민이 먹고사는 민생과 직결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제2차 국정과제 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복합 위기를 맞아 공급망을 강화하고 첨단기술 혁신을 통해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는데 우리의 미래가 걸려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정부 측에서 외교부, 국방부, 통일부 장관과 보훈처장이 참석해 정부의 외교·안보 현안과 정책을 직접 설명했다. 또 최근 윤 대통령이 강조한 '당정 협의' 강화 방침에 따라 여당에서 국민의힘 김기현 당 대표, 박대출 정책위의장, 김태호 외통위원장, 한기호 국방위원장이 등이 참석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날 윤 대통령 및 정부 부처에서는 △한미동맹 강화 및 한일관계 정상화 △한미일 협력 강화를 통한 북한 핵·미사일 대응 △경제 중심의 세일즈 외교를 통한 글로벌 공급망 협력 등 정부의 그간 외교 성과와 방향성을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국정과 외교를 '동전의 양면'에 비유하며 "복합 위기를 맞아 공급망을 강화하고 첨단기술 혁신을 통해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는데 우리의 미래가 걸려 있다"며 "첨단과학기술 협력이 패키지로 이루어진 상황에서 외교·안보는 민생과 직결된다"고 외교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특히 "복합 위기, 북핵 위협을 비롯한 도전과 극복을 위해서는 어느 때보다 한미일 3국 협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동맹은 이미 군사 안보 동맹을 넘어 글로벌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했고, 한일관계 역시도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고 한일관계 개선의 당위성을 언급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지난해 인도-태평양 전략을 제시했다는 것 외에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와 경제안보협력 등의 '세일즈외교' 성과를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외교 중심은 경제다. 앞으로 글로벌 협력을 확대해서 원전·반도체·공급망 협력을 강화하고 수출 성과와 해외시장 개척을 이뤄내는데 역량을 모을 것"이라고 했다.
북한 문제에 대해선 "동맹의 확장억제 능력을 강화하고 한국형 3축체계(킬체인·한국형 미사일방어·대량응징보복)를 복원해야 한다"라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우리가 먼저 공격을 받았을 때는 싸워서 이길 수 있도록 우리 군이 확고한 대적관과 군기를 확립하고 효과적인 실전 훈련으로써 역량을 극대화해야 될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정부가 북한의 인권 탄압 실태를 담은 북한인권보고서를 최초 공개한 것과 관련, "북한 주민의 처참한 인권유린 실상을 국제사회에 국내외 널리 알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북한 인권법이 실질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