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사업비 1조7천억원 규모
산업·주거·문화 어우러지는
'고밀도 산업혁신거점' 조성
![]() |
대구시청 산격청사 전경. 영남일보 DB |
대구시는 12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총사업비 1조7천억원 규모의 도심융합특구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도심융합특구는 관련 기업과 인재가 모일 수 있도록 2차 이전 공공기관을 적극 유치해 산업·주거·문화가 어우러진 고밀도 산업혁신거점으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앞서 경북도청 후적지(14만㎡)는 지난 2020년 12월 경북대(75만㎡), 삼성창조캠퍼스(9만㎡)와 함께 전국 최초로 도심융합특구 사업지로 선정된 바 있다. 이에 대구시는 경북도청 후적지를 산업혁신, 경북대는 인재양성, 삼성창조캠퍼스는 창업허브 거점으로 하는 트라이앵글 거점 계획을 수립했다.
![]() |
옛 경북도청 이전 터에 들어설 도심융합특구 공간 구상도. 대구시 제공 |
앵커기업존은 지역의 미래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기업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한다. 혁신기업존은 미래자동차, 도심항공교통(UAM), 스마트로봇 등 미래 신산업을 위한 기업공간으로 활용되며, 글로벌R&D존은 데이터R&D센터 또는 기업R&D센터 등을 유치할 공간으로 사용된다.
당초 국립근대미술관과 뮤지컬콤플렉스를 조성하려 했던 '문화예술허브' 사업 공간은 2차 공공기관 이전으로 채울 계획이다. 경북도청 후적지를 산업혁신거점으로 조성하는 만큼, 앵커기업과 혁신기업들의 성장을 적극 지원할 수 있는 공공기관이 이곳에 배치된다면 문화시설을 유치하는 것보다 더 큰 시너지 효과를 이끌어 낼 것으로 대구시는 전망했다.
![]() |
이종헌 대구시 정책총괄단장이 12일 시청 동인청사에서 기자설명회를 갖고 경북도청 이전 터에 도심융합특구 조성 계획을 밝히고 있다.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
또 경북도청 후적지와 인접한 산격1동 재개발 예정지역(32만㎡)은 지구단위계획을 조속히 수립해 도심융합특구와 연계한 미래세대를 위한 신 주거공간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대구시는 국회 상임위에 계류 중인 '도심융합특구 특별법'이 조속히 제정될 수 있도록 도심융합특구로 지정된 5개 광역시(대구·광주·대전·부산·울산)와 함께 공동으로 대응할 예정이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경북대 및 삼성창조캠퍼스와 연계한 도심융합특구, 윤석열 정부 공약인 공공기관 이전사업의 경우 지역경제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는 모멘텀이자 큰 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선우기자 sunwoo@yeongnam.com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민경석
민경석 기자입니다. 제보를 기다립니다.손선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