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지역 60대 이상 어촌계원 비중 전체의 80%
-도, 어촌 소멸위기 극복을 위한 청년 유입 대책 강구
![]() |
경북 경주 감포읍 나정2리 어촌계 어장에서 해녀가 물질을 하고 있다. 영남일보 DB |
어촌의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지역 어업인 10명 중 8명은 60대 이상 고령자일 정도로, 청년들의 발길이 끊어진 지는 이미 오래 전이다. 어업이 힘들고 위험하다는 인식 때문이다.
경북 영덕군에서 30여 년째 자망으로 대게 등을 잡고 있는 김규원(70)씨는 만성적인 수입 불안을 겪고 있다. 열심히 연안에 나가 조업을 해도 어가(魚價)와 장비 등의 가격 변동이 심해 수입이 일정치 않다. 김씨는 "수산업은 위험하고 수익이 불안정하다는 인식이 수십 년째 자리 잡고 있다"며 "어민들에 대한 정책 소외로 어촌에는 노인들만 자리를 지키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경북지역 어촌의 고령화는 심각한 수준이다. 수협중앙회 수산경제연구원에서 최근 발표한 '2022년도 어촌계 현황 조사'에 따르면 경북지역 어촌계원 중 60대 이상의 비중이 전체의 80%에 육박한다.
2021년 기준 경북의 어촌계원은 4천842명(남자 3천513명·여자1천329명)으로, 이중 60세 이상이 80.5%인 3천900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70세 이상도 1천916명(39.5%)으로 40%에 달한다.
반면, 법적으로 청년에 해당하는 39세 미만 어촌계원은 61명뿐이어서 전체의 1.2%에 불과하다.
문제는 기형적인 구조가 가속화되면서 경북지역 어업 인구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는데 있다. 경북도에 따르면 2013년 이후 매년 평균 470명씩 어업인이 현장을 떠나고 있다. 2013년 8천명에 육박했던 경북지역 어업인 수는 2021년 5천221명(준계원 379명 포함)으로 감소했다.
경북지역 어업인 대부분은 어선어업(3천187명·65.8%)에 종사하고 있다. 나머지는 신고어업(872명·18%), 정치망(169명·3.5%), 양식(152명·3.1%) 등에 종사 중이다.
김해성 경북대게어업인연합회 회장은 "어촌의 현실은 먹고 살기 힘든 구조다. 어(魚)자원 고갈로 어획량은 형편없이 줄어든 반면, 어구 가격은 과거보다 배 이상 올랐다"며 "젊은이들의 기피 현상이 고착화하지 않도록 지금이라도 어촌후계자나 귀어인에 대한 지원책을 제대로 펼쳐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북도는 갈수록 줄어드는 어업 인구의 유인책 마련을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 중이다. 17일 경북도 동부청사에서는 고령화된 어업인의 어촌계원 자격을 60세 이하 젊은 후계 어업인에게 이양하는 방안과 외부 신규 인력을 유입하는 정책을 우선 적용하는 지원책 등이 논의됐다.
특히 도는 고령으로 조업이 어려운 선주의 배를 귀어인에게 임대할 경우, 임차료의 80%를 지원하는 방안과 함께 귀어인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선주가 멘토 역할을 담당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등 신규 진입자가 기존 어업인과 융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다.
김중권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경제 악화로 식량안보 산업인 수산업이 무너지면 국제사회에서 경쟁력을 상실할 수밖에 없다"며 "지속 가능한 젊은 수산업, 자금과 사람이 모이는 어촌 건설을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