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필 경운대학교 항공기계공학과 교수 제안
경상북도 항공레저산업 육성 포럼 통해 경량 항공 운영 초석 마련
지역 특색 맞춤 전략 수립과 지역 대학 연계 강화
![]() |
김재필 경운대 항공기계공학과 교수(왕복엔진교육센터장) |
경북도가 풍부한 공항 인프라 구축 등 항공산업에 힘을 쏟고 있는 가운데 항공레저산업 경량항공기정비(MRO) 분야 기술을 선도할 사업 유치 필요성이 제기됐다.
경운대학교가 경북도 내 풍부한 공항 인프라 기반을 바탕으로 항공레저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최근 연 '경상북도 항공레저산업육성 포럼'에서 김재필 경운대학교 항공기계공학과 교수(왕복 엔진 교육센터장)는 지역 중소기업들이 항공레저산업 경량항공기정비 분야 기술을 선도할 사업을 유치해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이제는 경량항공기 운영을 위한 엔진, 기체, 전자 장비, 프로펠러 등의 핵심 구성요소를 안전하게 운영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량항공기정비분야 사업 유치와 이에 필요한 요소를 살펴보아야 할 때"라며 "이번 항공레저산업육성 포럼이 항공레저산업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전망을 통해 경량항공 정비 및 경량항공기 운영에 대한 미래 방향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경량항공기정비와 관련해 경북도가 높은 경쟁력을 가진다고 판단했다. 국외 제작사에서의 기술이전도 한가지 방안이지만, 대부분의 국외 제작사는 과도한 기술이전 비용과 해당 분야의 경험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그는 "현대의 항공기에서 전자장비는 필수적이며 매우 중요한 장비로 부각된다. 이미 경북도는 전자장비분야에서 많은 경험과 지식을 쌓아왔으며, 휴대전화 및 일상생활의 전자장비 혁신에 이바지해왔다"고 했다.
그 구체적 방안에 대해선 "경북도는 자체적으로 MRO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해 지역 특색에 맞춘 전략을 채택하고, 전기·전자분야에서의 경험과 인프라를 바탕으로한 선도적인 MRO 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해야 한다"며 "중소기업들을 위한 항공분야 교육을 지역의 대학과 연계해 강화하고, MRO분야에 쉽게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 적극 지원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경북도와 경운대는 지난 10월 대학, 지자체, 항공레저산업 분야 민간 전문가 등 20여 명으로 구성된 '경북도 항공레저산업육성 협의체'를 출범했다.
박용기기자 ygpark@yeongnam.com

박용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