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공관위, 16일 경북 17일 대구 공천신청자 면접
선거 때마다 공천 개혁 상징, 인적 쇄신 폭 관심
TK 정치권, "왜 우리가 인적 쇄신 기준이 되느냐"
'공천 잡음' 우려해 교체율 높지 않을 것 관측도
![]() |
국민의힘 정영환 공천관리위원장이 지난달 23일 여의도 당사에서 공관위 회의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대구경북(TK) 총선 판이 분수령을 맞고 있다. 국민의힘 공천이 임박했다.
국민의힘 '텃밭'인 TK에선 공천이 마무리되면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사실상 금배지의 향배가 결정된다.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는 16일 경북, 17일 대구지역 공천 신청자를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한다. 면접 심사가 끝나면 단수 추천이나, 전략 공천, 경선 지역구로 나눠진다.
관심은 인적 쇄신 폭이다. 그동안 온갖 추측이 난무했다. TK 물갈이론은 면접 심사를 맞아 절정을 향해 치닫고 있다.
현재 대규모 인적 쇄신론과 현실론이 맞서고 있다. 선거 때마다 TK는 공천 개혁의 상징이었다. 국민 눈높이를 강조하며 TK에서 대규모 인적 쇄신을 단행했다. 의원 개인의 경쟁력보다 당 지지도가 높은 게 근거다.
정치권 일각에선 이번 총선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관측한다. TK에서 50% 안팎의 교체율을 예상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 21대 총선 당시 TK 교체율은 64%로, 전국 평균 43%보다 20%포인트 이상 높았다. 20대 총선 때는 대구 75%, 경북 46%의 교체율을 기록했다.
공관위가 '경선 원칙'을 강조하지만, 예외 규정도 있다. 당 보다 의원 개인의 지지율이 낮을 경우, 공관위원 3분의 2 의결로 전략 공천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컷오프(공천 배제) 대상도 TK에서 나올 가능성이 높다. PK(부산경남)발(發) '중진 희생론'도 아직 유효하다.
TK 정치권은 부글부글 끓고 있다. 번번이 TK지역이 인적 쇄신의 기준이 되는 것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TK 한 의원은 "TK 의원을 교체하는 것이 왜 인적 쇄신이 되는지 따져봐야 한다"며 "TK 의원의 선수를 줄여 지역의 영향력을 낮추려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대규모 인적 쇄신이 실제 이뤄진다면 반발은 불을 보듯 뻔하다. TK '공천 잡음'은 전체 선거 판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공천 잡음을 우려한 공관위가 대규모 물갈이에 나서지 못할 것이라는 현실론이 대두되는 배경이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