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 42%·골재 36.5%·레미콘 32% 각각 오른 탓
자재비, 공사비의 30~40%로 비중 커
![]() |
대구지역 아파트 공사 현장이지용기자 sajahu@yeongnam.com |
시멘트, 레미콘 등 건설자잿가 상승으로 최근 3년(2021~2023년)새 건설공사비가 29%가량 치솟자 정부가 공급원 확대 및 다각화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14일 오후 서울역 회의실에서 건설자재업계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건설자재 수급 안정화를 위한 업계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국토부가 공개한 자료를 보면 시멘트는 최근 3년간 42.1% 뛰었다. 주요 원자재인 유연탄 가격 및 전기요금 인상, 공장 내 친환경설비 설치 비용 증가 등이 원인이었다. 같은 기간 시멘트 가격과 연계되는 레미콘 가격도 32% 올랐다.
공급원 부족과 유통비 상승 등으로 골재 가격도 36.5% 상승했다.
이 때문에 지난해 건설공사비는 2020년 대비 28.9%나 올랐다.
공사비 중 자재비 비중은 전체의 30∼40%를 차지한다. 자재비 상승이 공사비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공사비 상승 여파로 건설 수주액은 2022년 229조7천억원에서 지난해 189조8천억원으로 20% 감소했다.
이날 업계는 수급과 가격 안정화 관련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우선 시멘트업계는 환경 규제 완화를 위한 지원을 요청했다. 또 철도 물류기지 폐쇄 등으로 철도를 통한 수급 차질이 발생한다며 철도운송 지원 확대를 건의했다. 골재업계는 바다골재 채취를 위한 채취 허가 주체 일원화와 기간(통상 3년 이상) 단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골재 품질 강화를 위해 국토부가 추진 중인 순환골재 KS 인증제도를 연내 완료하고, 불량 골재를 막기 위해 공사현장에서 발생하는 토석의 암석과 토사의 분리배출을 제도화해달라고 건의했다. 콘크리트 제조 시 물의 양이 정해진 기준보다 더 들어갔는지 검사하는 '콘크리트 단위수량 시험 의무화'의 조속한 시행도 촉구했다.
레미콘업계는 원자재인 시멘트와 골재 수급 및 품질 확보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철강업계는 철강 품질 관리 강화를 위한 점검 기준 마련 및 점검 확대을 요청했다. 수입산 철강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적용, 국내 철강산업의 생산 기반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줄 것도 요구했다.
박 장관은 "자재업계의 건의사항 중 현장 안전과 관련된 점검 확대, 품질관리 기준 개정 등은 조속히 추진하고, 나아가 골재·시멘트를 비롯한 주요 자재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수급을 위한 공급원 확대와 다각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최수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