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0519010002650

영남일보TV

결국 대구도 '초고령사회' 진입…4월 노인 인구 비율 20.1%

2024-05-20

7대 특별·광역시 중 부산(23.1%)에 이어 두 번째
65세 이상 노인 47만 5천명…'고령사회' 된지 7년만
市, '고령친화도시 조성' 본격 추진…나이가 들어도 불편함 없도록

clip20240519195738
대구도 국제연합(UN)이 정한 '초고령사회'로 접어 들었다. 북구보건소 관계자가 어르신을 상대로 인공지능(AI) 돌봄인형 사용법을 설명하고 있다. 영남일보 DB

결국 대구도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대구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47만 5천 318명으로 전체 인구(236만 8천 670명)의 20.1%를 차지했다. 국제연합(UN)은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고령자 인구 비율'이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대구는 2017년 말 노인 인구 비율이 14.0%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로부터 7년도 채 지나지 않아 초고령사회로 들어선 것이다.

이는 전국 7대 특별·광역시 중 부산(23.1%)에 이어 두 번째다. 17개 광역자치단체 중에선 전남(26.5%), 경북(25.2%), 강원(24.5%), 전북(24.5%), 부산(23.1%), 충남(21.7%), 충북(21.3%), 경남(21.1%)에 이어 아홉 번째다.

이에 대구시는 급격한 노인 인구 증가와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본격 추진한다.

우선 △중장기, 연차별 노인복지종합계획 수립·시행 △노인의 정책 수립 참여 △주기적인 노인실태조사 등을 골자로 한 '고령친화도시 구현을 위한 노인복지 기본조례'를 오는 10월까지 제정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과 2026년 1월 시행 예정인 노인복지법의 '고령친화도시' 기준을 반영한 로드맵을 마련하고 구·군의 고령친화도시 지정도 함께 지원할 계획이다.

현재 추진 중인 노인복지사업들은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해 실시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지역 특성 및 노인의 욕구를 반영해 고도화해 나간다.

당시 노인실태조사에서 대구시가 가장 시급하게 확대해야 할 노인 정책 1, 2위로 '돌봄'(38.7%)과 '일자리'(38.3%)가 꼽혔다. 이에 시는 정부 정책에 따른 재가요양·돌봄 및 재택의료서비스 확대,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확대를 차질 없이 추진하는 한편, 지역특화 노인돌봄서비스 제공 및 내실화, 노인일자리 특성화 사업 다변화 등 수요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베이비붐 세대(1959~1964년생)의 노년기 진입에 따라 경로당·노인복지관 등 노인 여가시설을 활성화하고, 관계부서·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하고 질 높은 프로그램 마련과 체계적인 홍보로 어르신 참여와 만족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대구시는 또 시민들이 공감하고 지속 가능한 고령친화도시 모델과 중장기 노인복지정책 마련을 위해 추진 중인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 노인복지종합계획도 수립한다.

정의관 대구시 보건복지국장은 "고령친화도시는 나이가 들어도 불편함이 없고, 연령대에 상관없이 시민 모두가 평생 활기차게 나이 들어가는 도시를 일컫는다"며 "초고령사회 진입을 계기로 고령친화도시 조성 추진체계를 정비하고 노인복지정책을 고도화해 건강하고 활력있는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진식기자 jins@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진식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