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인 재활 및 요양 시설인 '희망마을' '보석마을'
지난 3년간 시설 내 사망자, 탈시설인보다 5배 많아
시민단체 "7년전 市 혁신대책에 의문…감사 통해 체질 개선해야"
![]() |
대구시청 산격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
대구 시민단체가 대구행복진흥사회서비스원(이하 행복진흥원) 산하 노숙인 자립 지원 시설을 두고 체질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우리복지시민연합(이하 시민연합)은 12일 성명을 내고 "노숙인 재활 및 요양 시설인 '희망마을'과 '보석마을'은 대구시의 혁신 대책 발표 이후에도 사회복지시설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며 "시는 현재 진행 중인 행복진흥원에 대한 특정감사를 통해 체질 개선과 탈시설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대구시는 지난 2017년 시립희망원의 혁신 대책을 발표하고 행복진흥원을 통해 희망마을(노숙인 재활 시설), 보석마을(노숙인 요양 시설), 아름마을(정신 요양 시설)로 구분해 운영하고 있다.
시민연합은 2021년부터 올해 4월까지 이들 마을의 3년 4개월간 입소자 현황 자료를 분석해 행복진흥원의 관리 실태를 지적했다. 이들은 "희망·보석마을 입소자 중 입원자 비율이 지난해 46.1%, 올해 45.5%였다. 10명 중 4명 꼴로 입원 상태여서 희망·보석마을이 병원인지 사회복지시설인지 알 수 없는 지경"이라고 했다.
또 "지난 3년간 두 시설에서 사망한 노숙인이 모두 137명에 달했다. 이는 연평균 41명이 숨지는 충격적인 수준이며, 특히 보석마을은 병원이 아닌 원내 생활관에서 40개월 동안 38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주장하며 노숙인의 탈시설(자립) 정책 강화를 요구했다.
시민연합은 최근 두 시설이 65세 이상 거주인의 기초연금 3천여만 원을 미신청해 누락한 사례를 예로 들며 관리 부실도 꼬집었다. 이들은 "두 시설의 입원자는 연간 38~46% 수준으로 매우 높지만, 입원자에 대한 퇴원계획, 양질의 생애주기별 지원 서비스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며 "장기입원자 관리가 오래전부터 제대로 되지 않고 있음은 이번 기초연금 미신청으로 충분히 알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임기 1년 3개월을 남긴 행복진흥원장이 대구시 감사와 맞물려 갑자기 사퇴한 원인도 궁금하다"며 "이번 기회에 철저히 감사해 체질을 변화시키는 근본적인 처방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태강기자 tk11633@yeongnam.com

김태강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