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기본계획 공유 및 의견 교환도
![]() |
20일 대구시청에서 제1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실무협의회'가 열렸다. <대구시 제공> |
대구 첫 '대학실무협의회'에서 대구형 계약학과 운영 지원, 국제화 역량 기반 거점 한국어 센터 운영 등 각 대학별 주요 사업·정책들이 논의됐다.
20일 대구시와 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이날 대구지역 대학 기획처장 및 관계기관 실무자들로 구성된 제1차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실무협의회'가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렸다.
이날 실무협의회에서는 대구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기본계획에 대한 공유가 중점적으로 이뤄졌다. 김광석 대구라이즈센터장이 내년부터 본격 시행될 RISE 기본 계획에 대해 설명을 하고, 이에 대해 각 대학이 의견을 제시했다.
또한 대구형 계약학과 운영 지원(경북대), 국제화 역량 기반 거점 한국어 센터 운영(계명대), 지역대학 연계 로컬크리에이터 양성 과정(보건대), 청년-기업 취업 매칭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사업(영남이공대), 대구시 5대 신산업분야 산업군별 인력양성(영진전문대) 등 앞으로 대구시와 대학 간 협력이 필요한 사업들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앞으로 대구시는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 실무협의회를 매월 1회 정기적으로 개최해 지역과 대학의 경쟁력 강화, 지·산·학·연 협력을 통한 지역 정주형 인재 양성 방안 등을 마련할 소통 창구로 활용할 계획이다.
김종찬 대구시 대학정책국장은 "급변하는 시대 흐름 속에서 지역대학과 지역사회가 상생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일에는 지역과 대학의 상생발전 및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협력사업 등을 논의하는 '대구시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협의회' 위촉식이 열린 바 있다.
대구시장이 의장인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지원협의회'(이하 육성지원협의회)는 대구지역 13개 대학과 시의회, 교육청, 대구테크노파크, 대구정책연구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장학재단, 대구상공회의소, 대구경영자총협회 등 대학 육성 관련 각계각층의 대표로 구성됐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