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이달(8월)로 종료되는 유류세 인하 조치의 연장 여부를 다음 주에 발표할 예정이다.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등 정황상 국제유가의 불확실성이 커 휘발유와 경유 등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세수 감소에도 물가 안정에 더 무게를 둘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유류세 인하 조치의 연장 여부가 검토되고 있다. 현재 유류세는 탄력세율을 조정해 휘발유는 ℓ당 164원(20%) 인하된 656원을, 경유는 ℓ당 174원(30%) 내린 407원을 각각 부과하고 있다.
정부는 물가 안정을 이유로 2022년 7월부터 휘발유와 경유의 유류세 인하 폭을 37%까지 확대했다가 지난해부터 휘발유는 25%로 축소한 뒤 일몰 기한을 연장해왔다. 지난달(7월)부터는 휘발유와 경유의 인하 폭을 현행으로 축소하고 이를 이달 말까지 적용키로 했다.
하지만 국제유가 상황은 불안불안하다. 하마스 최고지도자가 암살돼 중동에서 전운이 고조되자 서부 텍사스산원유(WTI) 선물가격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전날보다 4.26% 오른 배럴당 77.91달러다. 반면 최근 미국에서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지자 WTI 선물 가격이 급락했다. 국제 유가 동향을 종잡을 수 없는 상황이다. 박종진기자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 등 정황상 국제유가의 불확실성이 커 휘발유와 경유 등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세수 감소에도 물가 안정에 더 무게를 둘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1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유류세 인하 조치의 연장 여부가 검토되고 있다. 현재 유류세는 탄력세율을 조정해 휘발유는 ℓ당 164원(20%) 인하된 656원을, 경유는 ℓ당 174원(30%) 내린 407원을 각각 부과하고 있다.
정부는 물가 안정을 이유로 2022년 7월부터 휘발유와 경유의 유류세 인하 폭을 37%까지 확대했다가 지난해부터 휘발유는 25%로 축소한 뒤 일몰 기한을 연장해왔다. 지난달(7월)부터는 휘발유와 경유의 인하 폭을 현행으로 축소하고 이를 이달 말까지 적용키로 했다.
하지만 국제유가 상황은 불안불안하다. 하마스 최고지도자가 암살돼 중동에서 전운이 고조되자 서부 텍사스산원유(WTI) 선물가격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각)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전날보다 4.26% 오른 배럴당 77.91달러다. 반면 최근 미국에서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지자 WTI 선물 가격이 급락했다. 국제 유가 동향을 종잡을 수 없는 상황이다. 박종진기자

박종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