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증가 및 부동산 리스크에 대한 우려
![]() |
다음 달 미국발(發)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돼지만 가계부채 증가 및 부동산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남아있어 한은이 선제적으로 금리 인하에 나서지는 않을 것으로 본 것이다.
20일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9∼14일 62개 기관의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0%는 이달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월 대비 9%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나머지 10%는 25bp(1bp=0.01%포인트) 인하를 전망했다.
이날 금투협은 "다음 달(9월) 미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우세한 상황에서 국내에선 내수 부진 우려가 더해져 8월 금통위의 기준금리 하락에 대한 예상이 전월 대비 증가했다"면서도 "가계부채 및 부동산 리스크 우려 탓에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하는 응답자가 여전히 우세했다"고 말했다.
9월 국내 채권시장 금리와 관련해서, 금리가 보합세를 보일 것이라는 응답이 전월 대비 8%포인트 증가한 62%로 집계됐다.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와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단이 제한된 가운데, 글로벌 통화정책, 경제지표 발표 등을 기다리는 것으로 보인다.
금리하락 응답 비율은 26%로, 전월 대비 3%포인트 감소했다. 12%(전월 대비 5%포인트 ↓)는 금리 상승을 점쳤다.
물가와 관련해선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확산 우려에 따른 유가 상승 등 여파로 물가 하락을 점치는 응답이 전월(27%)보다 감소한 20%로 집계됐다. 물가 상승 응답자 비율은 6%로, 전월(3%) 대비 3%포인트 늘었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최수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