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행정통합은 대한민국 저출생, 지방소멸을 해결할 국가대개조 사업"
"대구경북이 앞장서 추진하면 다른 시·도에서도 따라오려고 준비하고 있다"
![]() |
이철우 경북도지사 |
![]() |
이철우 경북도지사 페이스북 캡처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9일 대구경북 행정통합과 관련, 홍준표 대구시장과 달리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도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 글을 통해 "여러분 걱정 끼쳐서 송구스럽고 안타깝다. 그러나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계속되어야 한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대한민국 저출생, 지방소멸을 해결할 국가대개조 사업"이라며 "대구경북이 앞장서 추진하면 다른 시·도에서도 따라오려고 준비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특히 그는 "대업에 어려움이 따르지만 끝까지 가야 한다"면서 "경북도와 대구시의 안은 도와 광역시의 차이인데, 도에는 실권을 가진 22개 시·군이 있는 반면 광역시는 기초구가 있지만 실권이 없고 사실상 대구시청 중심체제"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이 도지사는 "(대구시와 경북도의 안 차이는) 철학의 차이고 행정방식의 차이로, 중앙정부에 중재안을 내달라 요청했으니 잘 진행되리라 생각하고, 대구시에서도 이해할 것이라 믿는다"고 했다.
홍 시장의 통합 추진 무산 선언과 달리 통합을 계속 추진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 도지사는 행정통합의 당위성에 대해 "통합의 핵심은 중앙의 권한을 받아서 지방자치를 강화하고 재정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수도권 1극 체제에서 벗어나서 획기적인 지방균형발전을 도모할 기회를 사소한 의견 차이로 멈춰서는 안된다"고 했다.
이 도지사는 자신이 제안해 권영진 전 대구시장 시절 대구시와 함께 추진됐던 대구경북 행정통합 관련해 "행정통합은 2019년 말 제가 제안했으나 곧바로 코로나19 팬데믹이 덮쳐 진행이 어려웠다"면서 "그 해 9월 전문가와 시·도민으로 구성된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를 발족시켜 2021년 5월 통합안을 내놓았지만 코로나19와 선거 등 이유로 2022년 이후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022년 지방선거에 당선된 홍준표 대구시장께서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넌센스'라며 동의하지 않으셔서 중단됐다가, 올해 5월 다시 '통합을 추진하자'고 제안해 주신 덕분에 대구경북 행정통합의 기차가 다시 출발하게 됐다"며 "이처럼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우리는 묵묵히 준비해 왔고, 계속 도전하고 있다"고 했다.
끝으로 이 도지사는 "4년 전과 달리 지금은 정부에서 적극적인 의지가 있고, 우리 시·도민들도 그 필요성에 모두 공감하고 있다"면서 "포기하지 않고 반드시 해내야 한다. 시·도민들과 함께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