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1009010001148

영남일보TV

은행 과도한 희망퇴직금 도마

2024-10-10

14개 은행, 법정퇴직금외 평균 4억294만원

씨티은행 1인당 평균 최고...6억68만원

iM뱅크는 4억6천391만원으로 두번째 높아

 

은행 과도한 희망퇴직금 도마

국내 은행들이 2019년부터 올해까지 희망퇴직자들에게 법정퇴직금을 제외하고도 얹어준 돈(희망퇴직금)이 6조5천억원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에 본점을 둔 시중은행인 iM뱅크는 14개 은행 중 1인당 평균 희망퇴직금 규모(4억6천391만원)가 외국계인 한국씨티은행(6억68만원)에 이어 두번째로 많이 지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천준호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국내 14개 은행(외국계 은행 포함)은 2019년~올해 8월까지 희망퇴직자들에게 희망퇴직금으로 총 6조5천422억원을 지급했다.

같은 기간 희망퇴직한 은행직원은 1만6천236명이다. 1인당 평균 4억294만원을 받아간 셈이다.


희망퇴직금은 은행들이 법정퇴직금 외에 추가 지급한 돈이다. 통상 특별퇴직금, 자녀 학자금, 재취업 지원금 등이 포함된다.


일부에선 건강검진비와 의료비, 상품권을 지원하기도 했다.

한국씨티은행의 경우, 2021년 한 해에만 한꺼번에 2천130명의 희망퇴직을 받아 1조2천794억원의 희망퇴직금(1인당 평균 6억68만원)이 지급됐다.14개 은행 중 가장 많았다.

KB국민은행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희망퇴직을 받아 총 3천323명에게 희망퇴직금 1조2천467억원(1인당 3억7천519만원)을 지급했다.


신한은행은 1천954명에게 6천727억원(1인당 3억4천429만원), 하나은행은 2천454명에게 8천518억원(1인당 3억4천709만원), 우리은행은 1천940명에게 8천78억원(1인당 4억1천640만원)을 각각 지급했다.

올해 시중은행으로 전환한 iM뱅크(옛 대구은행)의 경우, 지방은행 시절이던 2019년부터 지난해말까지 희망퇴직자 326명에게 1천512억원을 지급했다. 1인당 평균 희망퇴직금은 4억6천391억원에 달해 씨티은행에 이어 국내 14개 은행 중 두 번째로 많았다. 희망퇴직자수는 다른 시중은행에 비해 많이 낮지만 퇴직금 인심은 후한 셈이다.

 

이와 관련 iM뱅크 관계자는 “iM뱅크의 경우 정년에 해당되는 부점장급 직원만 희망퇴직을 받다보니, 평균 금액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부산은행은 381명에게 1천573억원(1인당 4억1천296만원), 전북은행은 88명에게 355억원(1인당 4억385만원)을 각각 지급했다.


천 의원은 "이자수익으로 막대한 수익을 얻는 시중은행의 퇴직금 잔치가 지나친 것으로 보인다. 수익의 사회 환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종진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