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국민의힘 의원들에게 "국감 후 의총 개최하겠다"
친윤계와 친한계 의총 일정 두고 이견
친한, 최대한 빨리 의총 열어야 한다는 의견
의총 열더라도 합의점 찾기 어려울 듯
![]() |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왼쪽 두번째)가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특별감찰관 임명 추진을 두고 시각차가 큰 친윤(친윤석열)계와 친한(한동훈)계가 격돌할 전망이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의워총회를 앞두고 신경전을 펼치고 있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추경호 원내대표는 전날 국민의힘 의원 전원이 참여하는 텔레그램 단체방에서 특별감찰관 추천에 대해 "국감을 다 마치고 의원님들 의견을 듣는 의원총회를 개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23일 오후부터 이 대화방에서 특별감찰관과 관련해 추 원내대표의 의사를 물으며 압박하는 친한계 의원들의 글이 잇따라 올라온 것에 정식으로 답변을 한 셈이다.
한동훈 대표 역시 전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연한 말이지만 원내든 원외든 당 전체 업무를 총괄하는 업무는 당 대표가 하는 것"이라고 했다. 23일 추 원내대표가 한 대표의 특별감찰관 임명 추진 발언에 대해 "원내 사안"이라고 선을 그은 데 대해 맞불 성격이 강하다.
추 원내대표가 국감 이후라고 의원총회 개최를 예고했지만, 이마저도 친윤계와 친한계가 이견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국감은 사실상 이번 주면 대부분 마무리되지만 공식적으로는는 국감이 끝나는 날은 운영위가 열리는 11월 1일이다. 최근 김 여사 이슈 등에 대해 발빠른 대응을 강조한 친한계는 다음 주 초에는 의총이 열려야 한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친윤계는 공식 국감 종료 일정이 끝나는 11월 둘째 주를 검토하고 있다.
의원총회를 열더라도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의원총회에서 안건이 올라오면 만장일치로 결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견이 좁혀지지 않을 경우 표결에 부치기도 한다. 현재로선 특별감찰관에 대한 친윤계와 친한계의 시각차가 큰 만큼 표결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 하지만 정치권에선 표결 자체가 당 분열을 공식화하는 까닭에 의총 전까지 중재가 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