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앗이'는 한민족 고유의 1대 1 교환노동 관습이다. '품'은 노동력, '앗이'는 갚는다는 뜻이다. 품앗이는 주로 마을 단위로 이뤄졌는데 활용 범위가 꽤 넓었다. 농번기에 일손이 부족한 농가끼리 서로 일을 거들어주는 데 그치지 않고 집짓기, 나무하기, 제방쌓기 등 일상 생활에서도 노동을 교환했다. 품앗이 대상도 사람만이 아니었다. 소는 두 사람의 품으로 계산됐다. 품앗이는 상부상조 정신으로 공동체를 결속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우리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농경문화다.
요즘 우리 군에서 때아닌 품앗이 문화가 확산되는 모양이다. 그런데 미풍양속을 전승하는 게 아니라는 게 문제다. 일선 부대에서 훈련에 동원할 병사가 부족해서 벌어지는 일이다. 특히 전방부대가 심각하다. 실제로 강원도의 한 부대는 최신예 K-21 장갑차를 보유하고 있지만, 훈련 때마다 인력이 부족해 인근 부대에서 포수·조종수를 잠시 빌린다고 한다. 또 보병이 모자라 '하차전투(보병 전개)' 훈련을 포기하는 경우도 다반사라고 한다. 병사가 부족해 무기를 못 쓰고 훈련도 못 한다니 황당할 따름이다. 이런 군대가 전투에서 이길 수 있겠나.
우리 군의 병력 감소는 이미 우려스러운 수준이다. 현재 상비군은 50만명도 안된다. 20년 안에 30만명 선까지 떨어진다. 북한군 규모의 30% 수준이다. 이는 저출산으로 입대 자원이 줄어든 원인도 있지만 군 복무기간을 지나치게 줄인 탓도 크다. 복무기간 단축은 전형적인 정치 포퓰리즘이다. 최근 북한은 러시아에 군인 수출까지 한다. 비교할 바는 아니지만 훈련 품앗이까지 하는 우리 군의 현실이 새삼 걱정된다. 허석윤 논설위원
요즘 우리 군에서 때아닌 품앗이 문화가 확산되는 모양이다. 그런데 미풍양속을 전승하는 게 아니라는 게 문제다. 일선 부대에서 훈련에 동원할 병사가 부족해서 벌어지는 일이다. 특히 전방부대가 심각하다. 실제로 강원도의 한 부대는 최신예 K-21 장갑차를 보유하고 있지만, 훈련 때마다 인력이 부족해 인근 부대에서 포수·조종수를 잠시 빌린다고 한다. 또 보병이 모자라 '하차전투(보병 전개)' 훈련을 포기하는 경우도 다반사라고 한다. 병사가 부족해 무기를 못 쓰고 훈련도 못 한다니 황당할 따름이다. 이런 군대가 전투에서 이길 수 있겠나.
우리 군의 병력 감소는 이미 우려스러운 수준이다. 현재 상비군은 50만명도 안된다. 20년 안에 30만명 선까지 떨어진다. 북한군 규모의 30% 수준이다. 이는 저출산으로 입대 자원이 줄어든 원인도 있지만 군 복무기간을 지나치게 줄인 탓도 크다. 복무기간 단축은 전형적인 정치 포퓰리즘이다. 최근 북한은 러시아에 군인 수출까지 한다. 비교할 바는 아니지만 훈련 품앗이까지 하는 우리 군의 현실이 새삼 걱정된다. 허석윤 논설위원

허석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